파평윤씨(坡平尹氏, 파주)
유래
  • 시조 : 윤신달(尹莘達)
  • 파평 윤씨의 시조 윤신달(尹莘達)은 태조 왕건을 도와 삼국을 통일하고 고려를 건국하는데 공을 세운 개국공신으로서 태자를 교육시키는 태사삼중대광에 봉해졌다. 그의 5세손인 윤관(尹瓘, 1040~1111) 장군은 고려 문종때에 문과에 급제하고 1107년(고려 예종3년)에 별무반이라는 특수 부대를 편성한뒤 여진정벌에 나서 적 5천명을 죽이고 130명을 생포하는 등 북진정책을 완수한공으로 영평(파평)백에 봉해져 후손들이 본관을 파평으로 하였다.

    파평 윤씨의 시조 윤신달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경기도 파평(파주)에 있는 파평산 기슭에 용연(龍淵)이라는 연못이 있었다. 어느날 이 용연에 난데없이 구름과 안개가 자욱하게 서리면서 천둥과 벼락이 쳤다. 마을 사람들은 놀라서 향불을 피우고 기도를 올린지 사흘째 되는날, 윤온이라는 할머니가 연못 한 가운데 금으로 만든 궤짝이 떠 있는 것을 보고 금궤를 건져서 열어보니 한아이가 찬란한 금빛 광체속에 누워있었다. 금궤 속에서 나온 아이의 어깨 위에는 붉은 사마귀가 돋아있고 양쪽 겨드랑이에는 81개의 잉어 비늘이 나 있었으며, 또 발에는 황홀한 빛을 내는 7개의 검은 점이 있었다. 윤온 할머니는 이 아이를 거두어서 길렀으며 할머니의 성을 따서 윤씨가 되었다.

    잉어에 대한 전설은 윤신달의 5대손인 윤관의 일대기에도 또 나온다. 윤관이 함흥 선덕진 광포(廣浦)에서 전쟁 중에 거란군의 포위망을 뚫고 탈출하여 강가에 이르렀을 때 잉어떼의 도움으로 무사히 강을 건너 탈출하였다. 이번에는 장군의 뒤를 쫓던 적군이 뒤쫓아와 강가에 이르자 윤관 장군에게 다리를 만들어 주었던 잉어떼는 어느틈에 흩어져 버리고 없어졌다.
    그래서 파평 윤씨는 잉어의 자손이며 또한 선조에게 도움을 준 은혜에 보답하는 뜻으로 잉어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 묘는 경북 영일군 기계면 봉계동에 있다.
  • 주요 인물
    윤강(尹絳)윤개(尹漑)윤거형(尹居衡)윤겸(尹㻩)윤경(尹絅)윤경교(尹敬敎)윤경립(尹敬立)윤계겸(尹繼謙)윤계선(尹繼善)윤계종(尹繼宗)윤곤(尹坤)윤관(尹瓘)윤광보(尹光普)윤광소(尹光紹)윤광안(尹光顔)윤광익(尹光益)윤규(尹珪)윤긍(尹兢)윤긍주(尹兢周)윤기(尹愭)윤담(尹譚)윤담휴(尹覃休)윤돈(尹暾)윤동규(尹東奎)윤동도(尹東度)윤동로(尹東老)윤동로(尹東魯)윤동섬(尹東暹)윤동수(尹東洙)윤동승(尹東昇)윤동야(尹東野)윤동원(尹東源)윤동절(尹東晢)윤동주(尹東柱)윤동형(尹東衡)윤리(尹理)윤만헌(尹晩憲)윤명선(尹明善)윤명운(尹明運)윤명은(尹鳴殷)윤목(尹穆)윤문거(尹文擧)윤민일(尹民逸)윤민헌(尹民獻)윤방(尹坊)윤백원(尹百源)윤번(尹璠)윤보(尹珤)윤복희(尹福姬)윤봉구(尹鳳九)윤봉길(尹奉吉)윤봉오(尹鳳五)윤봉조(尹鳳朝)윤부길(尹富吉)윤비경(尹飛卿)윤사균(尹士畇)윤사로(尹師路)윤사분(尹士昐)윤사석(尹師晳)윤사흔(尹士昕)윤삼산(尹三山)윤상계(尹商季)윤상도(尹尙度)윤상로(尹湯老)윤상연(尹相衍)윤상은(尹相殷)윤상익(尹相翊)윤석(尹晳)윤석(尹晳)윤석규(尹碩奎)윤석래(尹錫來)윤석열(尹錫悅)윤선(尹銑)윤선각(尹先覺)윤선거(尹宣擧)윤선좌(尹宣佐)윤선지(尹先智)윤세림(尹世霖)윤세유(尹世儒)윤세임(尹世任)윤세호(尹世豪)윤손(尹𧂍)윤숙(尹塾)윤순거(尹舜擧)윤승순(尹承順)윤시영(尹始永)윤심(尹深)윤심형(尹心衡)윤안성(尹安性)윤양(尹瀁)윤양래(尹陽來)윤양후(尹養厚)윤언윤언민(尹彦旼)윤언순(尹彦純)윤언식(尹彦植)윤언이(尹彦頤)윤엄(尹儼)윤여임(尹汝任)윤여필(尹汝弼)윤여해(尹汝諧)윤연(尹葕)윤영시(尹榮始)윤영신(尹榮信)윤영춘(尹永春)윤영현(尹英賢)윤용식(尹容植)윤우식(尹雨植)윤원거(尹元擧)윤원로(尹元老)윤원형(尹元衡)윤유(尹揄)윤유근(尹惟謹)윤응선(尹膺善)윤응첨(尹應瞻)윤의립(尹毅立)윤이(尹彛)윤이림(尹爾霖)윤이제(尹以濟)윤인(尹訒)윤인걸(尹仁傑)윤인경(尹仁鏡)윤인서(尹仁恕)윤인첨(尹鱗瞻)윤인함(尹仁涵)윤일주(尹一柱)윤임(尹任)윤자(尹慈)윤자덕(尹滋悳)윤자승(尹滋承)윤자임(尹自任)윤장(尹樟)윤전(尹烇)윤절(尹晢)윤정립(尹貞立)윤정준(尹廷俊)윤정현(尹珽鉉)윤제홍(尹濟弘)윤조영(尹祖榮)윤종의(尹宗儀)윤주(尹澍)윤중삼(尹重三)윤증(尹拯)윤지경(尹知敬)윤지교(尹智敎)윤지미(尹知微)윤지선(尹趾善)윤지완(尹趾完)윤지임(尹之任)윤진(尹搢)윤찬(尹巑)윤척(尹陟)윤천뢰(尹天賚)윤추(尹推)윤춘년(尹春年)윤탁(尹倬)윤탁(尹鐸)윤태림(尹泰林)윤태준(尹泰駿)윤태흥(尹泰興)윤평(尹泙)윤필병(尹弼秉)윤필상(尹弼商)윤항기(尹恒基)윤해거(尹海擧)윤향(尹向)윤헌윤헌(尹瀗)윤헌주(尹憲柱)윤현(尹鉉)윤현진(尹顯振)윤형(尹炯)윤형로(尹衡老)윤혜교(尹惠敎)윤호(尹壕)윤호(尹虎)윤혼(尹焜)윤홍규(尹弘圭)윤홍립(尹弘立)윤황(尹煌)윤효정(尹孝定)윤효중(尹孝重)문정왕후(文定王后)장경왕후(章敬王后)정현왕후(貞顯王后)정희왕후(貞熹王后)
    ※ 해당 인물을 클릭하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 윤심형(尹心衡, 1698生) : 문과(文科) 경종1년(1721) 정시 갑과 장원급제
  • 윤사윤(尹士○, 1409生) : 문과(文科) 세종18년(1436) 친시 을과 장원급제
  • 윤희성(尹希聖, 1409生) : 문과(文科) 중종35년(1540) 별시 갑과 장원급제
  • 윤현(尹鉉, 1514生) : 문과(文科) 중종32년(1537) 식년시 갑과 장원급제
  • 윤헌주(尹憲柱, 1661生) : 문과(文科) 숙종24년(1698) 춘당대시 갑과 장원급제
  • 윤담휴(尹覃休, 1544生) : 문과(文科) 선조2년(1569) 별시 갑과 장원급제
  • 윤계선(尹繼善, 1557生) : 문과(文科) 선조30년(1597) 알성시 갑과 장원급제
  • 윤희손(尹喜孫, 1557生) : 문과(文科) 성종7년(1476) 별시 갑과 장원급제
  • 윤돈(尹㻻, 1815生) : 문과(文科) 헌종15년(1849) 별시 갑과 장원급제
  • 윤진(尹搢, 1631生) : 문과(文科) 현종7년(1666) 별시2 갑과 장원급제
  • 등 모두 1424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40명, 무과 86명, 생원진사시 934명, 역과 41명, 의과 11명, 음양과 2명, 율과 10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본관 연혁
  • 본관소재지 : 경기도 파주
  • 파평(坡平)은 경기도 파주시(坡州市)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파해평사현(坡害平史縣)과 술이홀현(述爾忽縣)을 설치했던 지역으로 옛 파주목과 교하군이 합하여 이루어진 곳이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각각 파평현(坡平縣)과 봉성현(峰城縣)으로 각각 개칭하여 내소(來蘇: 楊州)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파평현을 장단현(長端縣)으로 바꾸었고,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설치되면서 독립하였고, 1183년(명종 13)에 봉성현을 서원현(瑞原縣)으로 개칭하였다. 1398년(태조 7)에 서원군(瑞原郡)과 파평현(坡平縣)을 병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라 하였고, 1415년(태종 15) 교하현(交河縣)을 원평군에 폐합하여 도호부(都護府)로 승격하였다. 뒤에 교하현은 다시 환원되었으나 도호부는 그대로 두었다. 1459년(세조 5)에 파주목(牧)으로 승격하였으며, 1504년(연산군 10)에 본 주(州)를 유행지소(遊幸之所)로 삼고 나머지 땅은 인접 고을에 소속시켰다. 1506년(중종 1) 다시 파주목으로 복귀되었다. 영평(領平)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한성부 파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교하군이 폐지되어 파주에 병합됨으로써 임진강 하구인 서쪽으로 면적이 넓어졌다. 1945년 연천군 관할이었던 적성면(積城面)·남면(南面)을 편입하였으며, 1946년 남면을 양주군에 이관하였다. 1962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장단군(長湍郡) 군내면(郡內面) 조산리(造山里)가 파주군에 편입되었다. 1983년 관할 주내읍이 파주읍으로 개칭되었고, 1996년 파주군이 시로 승격되었다.
  •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파평윤씨는
    1985년에는 총 154,497가구 646,648명,
    2000년에는 총 221,477가구 713,947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