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익세(翼世). 호는 태비(苔扉). 아버지는 호조좌랑 엄(儼)이며, 어머니는 예조판서 김주(金澍)의 딸이다. 이이(李珥),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1588년(선조 21) 사마시에 합격하여 선공감역(繕工監役)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1609년(광해군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들어갔다. 그 이듬해 전적이 된 뒤 형조좌랑을 거쳐, 1612년 전라도도사로 전임되었다. 이듬해 형조정랑으로 춘추관기주관을 겸임하였고, 광해군의 난정이 계속되자 외직을 자청하여 괴산군수로 나갔다가 곧 파직되었다. 1617년 장악원첨정(掌樂院僉正)으로 재기용되어 그해 가을 사성에 올랐으나, 부당한 인사라는 사간원의 탄핵을 받고 체직되었다. 1618년 대동찰방(大同察訪)이 되었으나 얼마 뒤 파직당하였으며, 이때부터 안산(安山) 선묘하에 퇴거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군자감정에 임명되고, 장령, 내섬시정(內贍寺正)을 거쳐 평안도절도사로 나갔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공주로 왕을 호종한 공으로 통정대부에 오르고, 첨지중추부사를 거쳐 공조참의에 이르러 병으로 사직하였으며, 안산으로 돌아와 죽었다. 그는 자성(資性)이 순정(純正)하고, 일을 당하여 스스로 지킬 줄 알았으며, 경사(經史)에 밝고 시문에 능하였다. 특히, 조맹부(趙孟○)를 사숙(私淑)하여 해서를 잘 쓰고 그림도 잘 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