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정희왕후(貞熹王后)
  • 파평윤씨(坡平尹氏),  출생~사망 : 1418 ~ 1483
조선 세조의 비(妃). 판중추부사 증영의정 윤번(尹○)의 딸이다.

1418년(태종 18) 홍주 군아(郡衙)에서 태어나 1428년(세종 10) 가례를 행하였으며, 처음에는 낙랑부대부인(樂浪府大夫人)에 수봉되었다. 1452년(단종 즉위년) 수양대군(首陽大君)의 김종서(金宗瑞) 등의 제거를 위한 거사 때 용병(用兵)이 누설되어 손석손(孫碩孫) 등의 만류가 있었으나, 대군이 중문에 이르자 정희왕후가 갑옷을 들어 입혀서 용병을 결행하게 하였다. 1455년(세조 1) 왕비에 책봉되었고, 1457년 존호를 자성(慈聖)이라 하였으며, 1469년(예종 1) 흠인경덕선열명순휘의(欽仁景德宣烈明順徽懿)의 존호를 더하였다. 또 1471년(성종 2) 원숙신혜신헌(元淑愼惠神憲)을 가상하였다. 예종이 14세로 즉위하자 정희왕후가 수렴청정하게 되었는데, 이는 조선왕조에 들어와서 처음이다. 예종이 재위 1년2개월 만에 죽자 세조의 맏아들인 덕종(德宗: 예종의 형)의 둘째아들 자을산군(者乙山君: 뒤의 성종)이 즉일로 즉위하였다. 이는 조종조(祖宗朝)에 전례가 없는 일이었으며, 예종의 아들 제안대군(齊安大君)이 어렸고, 또 성종에게 형 월산대군(月山大君)이 있었는데도 즉일로 즉위하게 한 것은 정희왕후의 결단에 의한 것이다. 그런데 성종 또한 13세의 어린 나이였으므로, 7년 동안이나 섭정을 계속하였다. 1483년 3월 30일 온양에 있다가 행궁에서 죽으니 수가 66세였다. 덕종, 예종과 의숙공주(懿淑公主) 등 2남1녀를 두었다. 능은 양주에 있는 광릉(光陵: 세조의 능에서 동편 언덕 丑坐)이며, 6월 12일에 장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