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미숙(美叔). 증조부는 윤승우(尹承禹), 조부는 윤정은(尹楨殷)이고, 아버지는 윤세임(尹世任)이다. 외조부는 임숭령(林崇令) 이방윤(李芳胤)이다. 고양(高陽) 송산면(松山面) 출신이다.
통덕랑(通德郞)으로서 1699년(숙종 25) 기묘식년문과(己卯式年文科)에 을과(乙科) 7등으로 급제하여 교서관정자(校書館正字)를 지냈다. 형인 윤손은 1669년(현종 10) 기유식년문과(己酉式年文科)에 병과(丙科) 15등으로 급제하여 경주부윤(慶州府尹)에 이르렀고, 윤연(尹葕)도 1666년(현종 7) 병오식년문과(丙午式年文科)에 병과(丙科) 10등으로 급제하여 중화부사(中和府使)에 이르렀다.
통덕랑(通德郞)으로서 1699년(숙종 25) 기묘식년문과(己卯式年文科)에 을과(乙科) 7등으로 급제하여 교서관정자(校書館正字)를 지냈다. 형인 윤손은 1669년(현종 10) 기유식년문과(己酉式年文科)에 병과(丙科) 15등으로 급제하여 경주부윤(慶州府尹)에 이르렀고, 윤연(尹葕)도 1666년(현종 7) 병오식년문과(丙午式年文科)에 병과(丙科) 10등으로 급제하여 중화부사(中和府使)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