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윤정준(尹廷俊)
  • 파평윤씨(坡平尹氏),  출생~사망 : ? ~ 1624
조선 후기의 무신. 자는 수백(秀伯). 동지중추부사 경(瓊)의 아들이다. 1608년(선조 41)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다. 당시의 권신 박승종(朴承宗)의 부자가 대대로 교분이 있다 하여 불렀으나 거절하였다. 1618년(광해군 10) 벽동군수로 있을 때 명나라에서 징병을 요구해오자 도원수 강홍립(姜弘立) 휘하에 종군하여 요동에 건너가 군량운반의 임무를 다하고 돌아왔다. 그뒤 박엽(朴燁)의 탄핵을 받아 낙향하였다가 인조반정 이후 다시 관직에 기용되어 옹진현령이 되었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부원수 이수일(李守一)의 명을 받고 마탄(馬灘)을 수비하던 중 적의 포로가 되었다. 난군(亂軍)에 합세하라는 이괄, 한명련(韓明璉)의 권유에 대하여 도리어 반역의 죄를 꾸짖다가 살해되었다. 신장이 9척이나 되고 용모가 괴위(魁偉)하였으며 항상 호협하고 절개가 있는 선비들과 사귀었고, 특히 김응하(金應河), 박영신(朴榮臣) 등과 가까이 지냈다. 담력이 있는 종 결이(○伊)가 항상 그의 곁을 떠나지 않고 있었는데, 그의 죽음을 보고 그의 기마(騎馬)를 달려 옹진에 돌아와 관인에게 말을 맡기고 통곡하면서 바다에 빠져죽었다. 난이 끝난 뒤 병조참판에 추증되고 파령군(坡寧君)에 봉해졌으며, 김천의 민충사(愍忠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충민(忠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