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자는 사술(士述). 아버지는 부제학 경교(敬敎)이며, 어머니는 청주한씨(淸州韓氏)로 목사 수원(壽遠)의 딸이다. 유년시절 종조부 증(拯)에게 수학하였다. 1709년(숙종 35) 음공(蔭功)으로 장녕전참봉(長寧殿參奉)에 제수된 뒤 상의원직장(尙衣院直長), 의금부도사 등을 역임하고, 1713년 문의현감으로 재직하면서 토호들의 횡포를 제거하고 투박한 풍속을 교화하여 명성이 높았다. 1715년 할아버지를 여의고 사직하였다가 뒤에 다시 익위사위수(翊衛司衛率)에 제수되었다. 그뒤 사재감주부(司宰監主簿)를 지내고 1720년(경종 1) 함풍현감, 이어 금산군수, 담양부사, 장성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 삼남이 소란하자 왕명으로 군병을 거느리고 승군(僧軍)을 규합하여 백양산성(白羊山城)에서 방어를 하였다. 1732년 돈령부도정에 제수되고,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도정공유고' 2권 1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