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계초(季初). 호는 의관(宜觀). 호조참판 부(釜)의 아들이다. 1572년(선조 5)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1583년 복병장(伏兵將)으로 여진족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공을 세웠고, 1589년 윤탁연(尹卓然)의 천거로 요직에 등용되어 1592년 남원부사가 되었다. 같은해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난민(亂民)이 관창(官倉)을 부수고 약탈과 살륙을 자행하자 단신으로 말을 달려 수십명을 죽여 난을 진압시키고 남원을 사수할 계책을 세웠으나, 순검사(巡檢使) 김명원(金命元)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용인에 진을 쳤다. 그러나 밤중에 순검사 등이 도망하자 일주일 동안 말을 달려 남원에 돌아와서 전심전력을 다하여 흩어진 군졸을 모아 왜적과 싸웠다. 그뒤 안동판관을 거쳐 숙천부사를 역임하고, 또다시 전주부사로 전직되어 금산에 침입하여온 적군을 막지 못하고 전주의 관고(官庫)를 소각하여 많은 미곡을 소실시켰다는 죄로 파직당하였다. 그뒤 충주목사로 등용되고, 1594년 회령부사를 거쳐 이듬해 은성부사를 역임하는 동안 침입한 여진족 1, 000여명을 격파하고 선정을 베풀어 1597년 함경도순무어사(咸鏡道巡撫御使) 유몽인(柳夢寅)의 천거로 표리(表裏)를 하사받고 가자(加資)되었다. 1599년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승정원동부승지, 1601년 우승지, 경주부윤을 거쳐 이듬해 함경도병마절도사(咸鏡道兵馬節度使), 1603년 해주목사(海州牧使) 등을 역임하였다. 이어 1608년(광해군 즉위년) 전라도관찰사, 1610년 형조참판, 1612년 양양부사를 역임한 뒤 1613년 익사공신(翼社功臣)으로 책록되고 파양군(坡陽君)에 봉하여졌다. 그러나 홍주목사(洪州牧使)에 재직 중 대북파(大北派)가 소북파를 제거하기 위하여 조작한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관련되어 파직당하였다. 그뒤 1615년 광해군의 시기를 받던 능창군(陵昌君) 전(佺)의 추대사건에 관련한 혐의로 사형당하였다. 평소에 술을 좋아하였으며, 화기애애하였고, 시에도 능하여 운격(韻格)이 맑고 총민하여 시인의 으뜸이 되었으며, 평생 동안 '출사표 出師表', '이소경 離騷經'을 즐겨 읊었다. 저서로는 '의관유고집 宜觀遺稿集'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