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평윤씨(海平尹氏)
유래
  • 시조 : 윤군정(君正)
  • 시조 윤군정(君正)은 고려 고종, 원종 때 금자광록대부, 수사공, 좌복야, 공부판사(工部判事)를 지냈다. 그의 손자 윤석이 고려 충숙왕 때 충근절의 동덕찬화 보정공신, 벽상삼중대광, 도첨의사, 우의정, 판전리사사로 해평부원군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해평을 본관으로 하였다.
  • 인물
    - 윤은보(殷輔) : 조선 중종 때 영의정을 지냈다.
    - 윤승훈(承勳) : 조선 선조 때 영의정을 지냈다.
    - 윤방(昉) : 윤두수의 첫째 아들. 인조 때 영의정을 지냄으로써 부자 영상으로 이름을 떨쳤다. 도승지, 한성판윤,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인목대비의 폐위에 반대하여 은퇴하였으며, 인조반정으로 예조판서에 등용,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을 지냈다.
    - 윤흔(昕) : 윤두수의 둘째 아들. 우승지를 지내고 계축옥사로 파직되었다가, 역시 인조반정 뒤 예조참판·중추부지사 등을 지냈다.
    - 윤휘(暉) : 윤두수의 셋째 아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인조를 따라서 적진을 왕래하면서 화의를 교섭하였고, 뒤에 형조판서를 거쳐 우찬성에 이르고 영의정이 추증되었다.
    - 윤훤(暄) : 윤두수의 넷째 아들. 병조판서를 지냈다.
    - 윤오(旿) : 윤두수의 다섯째 아들. 병마절도사를 지냈다.
    - 윤급(汲) :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글씨에 뛰어나 윤상서체를 이룩하였다.
    - 윤비(尹妃) : 순종왕비. 영의정 방의 후손이다.
    - 윤치호(致昊) : 흔의 8세손이며, 아버지 웅렬(雄烈)은 한말에 군부대신이었다.
    - 윤보선(尹潽善) :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재임 1960~1963)을 지냈다.
    주요 인물
    ※ 해당 인물을 클릭하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 윤횡선(尹宖善, 1832生) : 문과(文科) 고종19년(1882) 증광시 갑과 장원급제
  • 윤득우(尹得雨, 1719生) : 문과(文科) 영조27년(1751) 정시 갑과 장원급제
  • 윤승구(尹升求, 1825生) : 문과(文科) 고종10년(1873) 식년시 갑과 장원급제
  • 윤득경(尹得敬, 1702生) : 문과(文科) 영조12년(1736) 알성시 갑과 장원급제
  • 윤택휴(尹澤休, 1687生) : 문과(文科) 영조11년(1735) 식년시 갑과 장원급제
  • 윤은필(尹殷弼, 1687生) : 문과(文科) 연산군10년(1504) 별시 일등 장원급제
  • 윤치겸(尹致謙, 1772生) : 문과(文科) 순조7년(1807) 식년시 갑과 장원급제
  • 윤치정(尹致鼎, 1764生) : 문과(文科) 순조1년(1801) 식년시 갑과 장원급제
  • 윤득성(尹得聖, 1699生) : 문과(文科) 영조45년(1769) 정시 갑과 장원급제
  • 윤세희(尹世喜, 1642生) : 문과(文科) 숙종8년(1682) 증광시 병과
  • 등 모두 42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11명, 무과 10명, 생원진사시 274명, 역과 2명, 의과 21명, 율과 3명, 주학 7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항렬자
    24世
    영(榮)
    25世
    섭(燮)
    26世
    노(老)
    27世
    진(鎭)
    28世
    홍(洪)
    29世
    식(植)
    30世
    병(炳)
    31世
    규(圭)
    32世
    용(鏞)
    33世
    준(準)
    34世
    수(秀)
    35世
    환(煥)
    36世
    기(起)
    37世
    호(鎬)
    38世
    원(源)
  • ※ 세(世)와 대(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5세손은 24대손)
  • 본관 연혁
  •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
  • 해평(海平)은 경상북도 구미시(龜尾市) 해평면 일대에 있던 지역이다. 신라의 병정현(竝井縣)이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파징현(波澄縣)이라 개칭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해평군(海平郡)으로 개편되어 후에 복주(福州: 安東)가 관할 하였고, 1018년(현종 9)에는 상주(尙州)로 이속되었다가, 1143년(인종 21)에는 선산도호부(善山都護府)로 이속되었다. 1415년(태종 5)에 해평현(海平縣)으로 강등된 후 선산군(善山郡)에 폐합되었다. 1978년에 구미읍이 시로 승격하였고 1995년에는 구미시와 선산군이 통합되어 구미시 해평면이 되었다.
  •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해평윤씨는
    1985년에는 총 5,489가구 22,758명,
    2000년에는 총 8,225가구 26,341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