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군옥(君玉). 호는 하빈옹(河濱翁). 영의정 방(昉)의 손자로, 해숭위(海崇尉) 신지(新之)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선조의 딸 정혜옹주(貞惠翁主)이다. 1619년(광해군 11) 20세 때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권지정자, 설서를 거쳐 시강원사서에 이르렀으나 광해군의 난정을 보고 관직을 사퇴하였다. 인조반정 이후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삼사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수원부사가 되었을 때 중국의 '여씨향약 呂氏鄕約'을 본떠 덕화(德化)와 상호협조를 위한 교조(敎條)를 만들어 백성에게 도덕을 선양하여 교화시키고 지방자치정신을 배양하는 데 힘썼다. 또한, 부병(府兵) 3, 000명을 새 장정으로 교체하고 훈련을 강화하는 한편, 군기(軍器)를 정비하여 군사력 강화에 힘을 기울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성균관으로 달려가 생원들과 힘을 합하여 동무(東○), 서무(西○)에 모신 선현의 위패를 산에 묻고, 다시 오성(五聖), 십철(十哲)의 위패를 남한산성으로 모셔 분향행례를 계속하였다. 뒤에 예조참판을 거쳐 전라도관찰사가 되었다. 그러나 1638년 할아버지 방이 병자호란 때 강화도로 모시고 간 사위(社位) 40여주 가운데 왕후의 신위 하나를 분실한 책임이 논죄되고 그 죄목으로 할아버지가 황해도 연안으로 귀양가게 되어 속죄의 뜻으로 관찰사의 사직을 주청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도리어 경기감사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다. 유학을 몸소 실천한 유학자로 글씨도 뛰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