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자일(子一). 호는 남악(南岳). 사헌부감찰 홍언(弘彦)의 아들이다. 1561년(명종 16) 사마시에 합격하고, 1564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 사헌부장령 등 여러 중요관직을 역임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구성부사로 있으면서 군량미조달과 군인모집 등에 공을 세우고, 이듬해 충청도관찰사로 있을 때에는 전란에 시달려 굶주린 백성을 구휼하고 장정을 뽑아 기효신법(紀○新法)으로 훈련을 시켜 명나라 지휘관으로부터 높이 평가를 받았다. 이어 평안도관찰사를 거쳐 1600년 형조판서가 되었으며, 이해 그의 딸이 선조의 일곱째 아들 인성군(仁城君)과 결혼하였다. 한성부우윤을 지내면서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를 겸직하고, 관직은 의정부좌참찬으로 끝났다. 뒤에 해선군(海善君)에 봉하여졌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숙간(肅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