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포럼
2025년 3월 23일(일) 乙巳年 己卯月 辛卯日 미래를 열어주는 정통역학 사이트  ㆍ  인터넷 사주 궁합 작명 전문  ㆍ  사주포럼  ㆍ  www.SajuForum.com ♬ 즐겨찾기에 추가
 회원가입  |  아이디 / 비밀번호 찾기
  • 고객 상담전화
  • 평   일 : 오전 9시 ~ 오후 7시
    토요일 : 오전 9시 ~ 오후 3시
    • 불용문자 HOME > 작명 > 불용문자
    • 작명을 함에 있어 불용문자는 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만 불용문자와 불길문자를 선별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불용문자의 의미
    • 언제부터인가 사람들 사이에 이른바 ‘불용문자(不用文字)'라는 것이 전해 내려왔습니다. 예를 들어 ‘동녘 동(東)'을 넣어서 이름을 지으려고 하는데 누군가 옆에서 '그 글자는 이름에 쓰지 않는데요'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조건 그대로 그 글자를 불용문자로 받아들이고 꺼리는 것입니다.
    • 이렇게 해서 전해 내려오는 불용문자의 수가 엄청나게 많아서, 이러한 글자들을 모두 빼고 이름을 지으려면 정상적인 작명이 불가능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런데 이른바 ‘불용문자'라는 것 가운데는 좋은 글자들이 너무나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위에서 본 ‘동녘 동(東)만 하더라도 태양이 떠오르는 밝은 이미지를 갖고 있습니다.
    • 불용문자는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오늘날의 사회 통념상 이름 글자로 받아들이기 곤란한 문자 즉 진정한 불용문자이고, 다른 하나는 이름 글자로 사용하면 흉한 작용을 한다는 설 때문에 꺼리는 문자 즉 속칭 '불길문자(不吉文字)'입니다.
    • 진정한 불용문자
    • 다음과 같은 글자들은 대법원이 정한 인명용 한자이지만, 오늘날의 사회 통념상 이름 글자로 받아들이기 곤란한 문자입니다.
    • 간사할 간(姦) 개 견(犬) 괴로울 고(苦) 울 곡(哭) 과부 과(寡)
      귀신 귀(鬼) 속일 기(欺) 성낼 노(怒) 눈물 루(淚) 도적 도(盜)
      독할 독(毒) 소경 맹(盲) 범할 범(犯) 병 병(病) 가난할 빈(貧)
      복 입을 상(喪) 상할 상(傷) 쇠할 쇠(衰) 근심 수(愁) 주릴 아(餓)
      악할 악(惡) 재앙 앙(殃) 슬플 애(哀) 재앙 액(厄) 약할 약(弱)
      염병 역(疫) 욕될 욕(辱) 음탕할 음(淫) 울 읍(泣) 찌를 자(刺)
      막힐 장(障) 다툴 쟁(爭) 빚질 채(債) 물 흐릴 탁(濁) 아플 통(痛)
      패할 패(敗) 해할 해(害) 험할 험(險) 피 혈(血) 재화 화(禍)
      근심 환(患) 흉할 흉(凶)
    • 불길문자
    • 이름학자들은 나름대로 여러 가지 불길문자를 소개하면서, 그로 인한 나쁜 영향을 설명한 후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라는 식으로 결론을 맺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은 여러 이름학자들이 소개하는 불길문자의 예입니다.
    • 갑(甲) : 관재구설이 따르고 질병으로 고생한다.
    • 국(國) : 연속적으로 실패하고 배신을 당하게 된다.
    • 길(吉) : 불화와 조난을 초래한다.
    • 남(男) : 배우자 덕이 없으며 가정불화가 잦다.
    • 동(東) : 단정하나 근심, 걱정, 수심이 있다.
    • 명(明) : 머리는 명석하지만 파란곡절이 많다.
    • 미(美) : 부모덕이 없으며 사업의 실패와 형액을 당한다.
    • 복(福) : 빈천하다.
    • 사(四) : 단명하고 조난을 당한다.
    • 수(壽) : 뜻이 의미하는 것과 반대로 단명할 암시가 있다.
    • 애(愛) : 뜻과는 반대로 비애에 빠지는 신세가 되기 쉽고 남편과의 사랑도 지속되기 어렵다.
    • 영(榮) : 수심이 떠날 사이가 없고 매사가 순탄하지 않다.
    • 용(龍) : 하천곤궁하다.
    • 운(雲) : 재물이 분산되어 일생 동안 고생을 면하기 어렵다.
    • 인(仁) : 고질을 지닐 암시가 있고 평생 불행이 끊일 사이가 없다.
    • 일(日) : 고독과 형망(兄亡)을 불러온다.
    • 진(眞) : 모든 일이 허무로 돌아가는 암시가 있다.
    • 춘(春) : 갑자기 크게 성공할 수 있지만 봄바람처럼 허영심이 많아 곧 실패한다.
    • 하(夏) : 파란이 많아 노력은 해도 이루는 것이 없다.
    • 해(海) : 인생 항로에 파란곡절이 많다.
    • 호(虎) : 단명하고 가난하다.
    • 희(喜) : 비애와 고독의 암시가 있다.
    • 위의 글자들은 주위 사람들의 이름에서 흔히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글자들입니다. 위 글자들을 이름에 쓰면 좋지 않다는 것이 어디에 근거를 두고 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저 글자의 뜻이 매우 추상적이거나 거창하기 때문 등이 아닐까 추측할 수 있을 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명가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이름자로 불길문자를 사용하면 무조건 불행을 당하는 줄 알고 쓰는 것을 꺼리는 것도 현실이라 하겠습니다.
    • 불길문자에 대한 논란은 그 한자에 담긴 의미가 아닌 터무니없는 헛소문에서 유래된 것이라 봅니다. 그러니 어느 누구에게서든 자신의 이름자가 ‘불길문자'라는 이야기를 들어도 지나치게 혼란스럽게 여길 필요는 없습니다.
    길한 문자
    • 길(吉)한 글자란 불길 문자와는 반대로 이름자로 쓰면 좋다고 전해 내려오는 글자입니다. 불길 문자로 분류되는 글자는 매우 많지만, 이와 반대로 길하다고 알려진 글자는 많지 않습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길한 문자로 알려진 글자 중에 역대 대통령의 이름자가 많이 들어 있다는 것입니다. 전두환(全斗煥) 전 대통령이나 노태우(盧泰愚) 전 대통령은 이름자에 속칭 ‘길한 글자’를 지니고서도 말년에 감옥살이 등 세판 풍파를 겪었습니다. ‘용(龍)’자나 ‘국(國)’자 같은 경우 ‘불길 문자’라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길한 문자’라고 하는 의견도 있습니다. 다음은 여러 이름학자들이 추천하는 길한 글자를 학자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 ① 두(斗), 팔(八), 승(承), 준(濬), 수(秀), 철(哲)
      ② 두(斗), 승(承), 정(正), 철(哲), 수(秀), 병(秉), 상(相), 환(煥), 훈(勳)
      ③ 두(斗), 승(承), 정(正), 준(濬), 수(秀), 철(哲), 석(晳), 우(愚), 영(永)
      ④ 익(益), 입(立), 옥(玉), 창(昌), 황(皇), 국(國), 봉(鳳), 수(樹), 기(基), 형(衡)
      ⑤ 익(益), 승(承), 정(正), 수(秀), 철(哲), 창(昌), 봉(鳳), 수(樹), 기(基), 형(衡), 광(光), 태(泰), 성(成), 용(龍), 호(豪), 의(義), 비(飛)
      ⑥ 두(斗), 병(秉), 상(相), 수(秀), 수(洙), 승(承), 정(正), 철(哲), 환(煥), 훈(勳)
    • 작명을 함에 있어 '불용문자'와 '불길문자'는 분명하게 선별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만 근거없는 '불용문자' 논란으로 인해 지나친 혼란을 야기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정통 이름짓기 / 실시간 이름풀이 / 전문가 서비스
    No.1 인터넷 작명사이트ㆍ사주포럼ㆍwww.SajuForu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