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육부, 삼재, 삼정
HOME > 관상 > 육부, 삼재, 삼정
- 마의상법은 관상학의 교과서입니다.
운명을 예지하고, 빈부귀천을 추리하는데 사용되는 관상학의 핵심 이론입니다.
- 육부(六府)

- 六府者, 兩輔骨, 兩顴骨, 兩頤骨, 欲其充實相輔, 不欲支離孤露。
- 육부자, 양보골, 양관골, 양이골, 욕기충실상보, 불욕지리고로。
- 靈臺秘訣雲, 上二府, 自輔角至天倉, 中二府, 自命門至虎耳, 下二府, 自肩骨至地閣。
- 영대비결운, 상이부, 자보각지천창, 중이부, 자명문지호이, 하이부, 자견골지지각。
- 六府充直 無缺陷癍痕者, 主財旺。
- 육부충직 무결함반흔자, 주재왕。
- 天倉峻起多財祿, 地閣方停萬頃田, 缺者不合。
- 천창준기다재록, 지각방정만경전, 결자불합。
-
6부는 양쪽 보골(옆이마)과 양쪽 관골(광대뼈), 양쪽 이골(옆턱뼈)로서, 서로 충실하고 돕는 듯
하고, 뼈대가 팽창하고 살집이 두터우며 피부가 깨끗하면 길상이라 여기며, 어느 한 가지라도
그 격에서 벗어나거나 홀로 튀어서는 안됩니다.
영대비결에 이르기를 상2부는 보각에서 천창까지이고, 중2부는 명문에서부터 호이까지이며,
하2부는 지각 옆(시골)에서 지각에 이르는 부위입니다.
-
6부가 함몰되지 않고 충실하며 상처나 흉터가 없다면 주로 재물이 풍성하고, 천창이 높게
일어나면 재물과 벼슬이 많고, 지각이 사각으로 모나고 살이 두터우면 전답이 1만둔(1둔은 2만평 정도)에
이르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주름살이나 흉터, 흑점 등의 잡티나 결함이 있으면 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 1. 제1, 2부(천창상부)
-
육부 중에서 제1, 2부는 양쪽 눈썹 끝쪽으로부터 시작하여 이마의 일부분에 해당하며 살집이
두텁고 색이 맑으면 복이 많고 자녀의 교육이나 본인의 사회진출운이 좋습니다.
만약 이곳이 좁거나 흉터, 주름살이 자리하고 색깔이 어두우면 10대, 20대에서 이루어야 할 교육운, 취업운,
결혼운 등이 불길해 집니다.
- 2. 제3, 4부(관골중부)
-
육부 중에서 제3, 4부는 흔히 말하는 광대뼈 근처를 말합니다. 이곳은 뼈대가 약간 살아난듯
벌어진듯한 모양새이면 중년에 사회적인 지위와 상당한 재물을 얻게 됩니다. 만약 광대뼈가
흔적이 없을정도로 낮거나 있다해도 흉터와 주름살이 자리하게 되면 중년에 크게 실패하거나
파재, 송사, 명예실추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3. 제5, 6부(이골하부)
-
육부 중에서 제5, 6부는 얼굴 하단부의 턱을 포함한 귀밑에서부터 목선까지 연결되는
부위를 말합니다. 이곳 역시 벌어지듯 견실한 뼈대에다 두터운 살집을 지니면 길상이며,
이와 같은 하관이면 말년에 상당한 재물을 갖게 되며 자녀들 또한 크게 성공합니다. 만약
이곳 뼈대가 빈약하고 뺨과 턱에 살집이 부족하거나 흉터나 주름살이 자리했다면 힘든 말년을 보낼 것입니다.
- 삼재(三才)
- 額爲天, 欲闊而圓, 名曰有天者貴。
- 액위천, 욕활이원, 명왈유천자귀。
- 鼻爲人, 欲正而齊, 名曰有人者壽。
- 비위인, 욕정이제, 명왈유인자수。
- 頦爲地, 欲方而闊, 名曰有地者富。
- 해위지, 욕방이활, 명왈유지자부。
-
삼재는 천지인(天地人)을 이르는 것으로, 이마를 천(天)이라 하고 턱을 지(地)라 하며 코를 인(人)이라 합니다.
이마는 "天"에 비유되는 곳이니, 이마의 상이 좋은 사람은 귀(貴)할 것이요, 코는 "人"에
비유되는 곳이니, 코의 상이 좋은 사람은 수(壽)할 것이며, 턱은 "地"에 비유되는 곳이니, 턱의
상이 좋은 사람은 부유(富裕)한 인생을 누리게 됩니다.
- 삼정(三停)

- 髮際至印堂爲上府, 是初主。
- 발제지인당위상부, 시초주。
- 自山根至準頭爲中府, 是中主。
- 자산근지준두위중부, 시중주。
- 自人中至地閣爲下府, 是末主。
- 자인중지지각위하부, 시말주。
- 自髮際至眉爲上停, 眉至準頭爲中停, 準頭至地閣爲下停。
- 자발제지미위상정, 미지준두위중정, 준두지지각위하정。
- 訣曰:上停長老吉昌, 中停長近君王, 下停長少吉祥,
- 결왈:상정장로길창, 중정장근군王, 하정장소길상,
- 三停平等, 富貴榮顯, 三停不均, 孤夭貧賤。
- 삼정평등, 부귀영현, 삼정불균, 고요빈천。
- 詩曰:面上三停仔細看, 額高鬚得耳門寬,
- 시왈:면상삼정자세간, 액고수득이문관,
- 學堂三部奚堪足, 空有文章恐不官。
- 학당삼부해감족, 공유문장공불관。
-
삼정이란 발제에서 인당까지를 상정이라 하여 주로 초년운을 주관하고, 산근에서 준두까지를 중정이라하여 주로 중년의
운을 주관하고, 인중에서 지각까지를 하정이라하며 말년의 운을 주관합니다.
책에 이르기를 "상정이 길면 젊어서 길하고 창성하며,
중정이 길면 군왕을 가까이에서 모시게 되고, 하정이 길면 노년에 길상하다"고 하였습니다.
삼정이 고루 균등하면 부귀영달하게 되지만 삼정의 균형이 맞지 않으면 외롭거나 요절하거나 빈천하게 됩니다.
시에 이르기를 "얼굴의 삼정을 자세히 살펴라, 이마가 높다면 반드시 귓구멍도 넓어야 한다.
학당과 삼부가 훌륭하다면, 어찌 문장이 뛰어나지 않으며 관직에 나가지 못함을 두려워하랴."라고 되어 있습니다.
- 1. 상정(上停)
- 上停天中天庭司空中正印堂, 凡五部旁, 連目之上下, 眉之左右,
- 상정천중천정사공중정인당, 범오부방, 연목지상하, 미지좌우,
- 幷主貴, 主父母, 主君上, 主早年。
- 병주귀, 주부모, 주군상, 주조년。
-
상정은 천중, 천정, 사공, 중정, 인당의 다섯 부위로 눈의 위아래와 눈썹의 좌우에 해당되며
상정을 통해서는 그 사람의 귀함을 판단하고, 부모와 윗사람을 보고 초년의 운을 보게 됩니다.
상정이 지배하는 나이는 대략 태어나서부터 34세까지이며, 따라서
20대나 30대 초반에 일어나는 모든 운수의 길흉여부는 상정 사정에 따라 판단한게 됩니다.
상정 즉 이마부위가 살이 풍만하고 평평하여 풍족해 보이는 사람은 초년운이 좋을 것이니 평탄하게
성장하겠고, 부모운 역시 좋으니 부모의 덕이 있겠으며, 성장한 후의 관운 또한 좋을 것입니다.
- 2. 중정(中停)
- 中停山根年上壽上準頭, 凡四部旁, 連目下顴面耳前,
- 중정산근연상수상준두, 범사부방, 연목하권면이전,
- 幷主壽, 主財, 主妻子兄弟, 主中年。
- 병주수, 주재, 주처자형제, 주중년。
-
중정은 산근, 연상, 수상, 준두 네 부위와 눈밑과 관골, 귀앞을 말하며, 주로 자기의 몸과 자기의 세력과 관련된
것들을 판단하게 됩니다.
또한 중정을 통해서는 수명을 판단하고 재물과 배우자, 형제를 보고 중년의 운을 보게 됩니다.
중정이 지배하는 나이는 대략 35세에서 50세까지이며, 중정 즉 코가 살이 두텁고 풍만하며 비뚤어지지
않고 똑바르며 오똑하게 생겼으면 중년운이 좋을 것이니 비록 초년에 고생하였어도 중년에는
성공할 것이요, 재물운도 좋으며 건강할 것입니다.
- 3. 하정(下停)
- 下停人中水星承漿地閣, 凡四部, 連口中, 上下左右腮頤,
- 하정인중수성승장지각, 범사부, 연구중, 상하좌우시이,
- 幷主祿, 主田宅, 主奴僕畜, 主末年。
- 병주록, 주전택, 주노복축, 주말년。
-
하정은 인중, 수성, 승장, 지각 네 부위와 입의 상하좌우와 볼과 턱이 해당되며, 주로 녹과 부동산, 부하와
가족을 보고 말년의 운을 보게 됩니다.
하정이 지배하는 나이는 대략 51세에서 71세까지이며, 하정이 넓직하고 두둑하며 묵직한 형상이면
자손이 번창하고 재물도 늘어나며 수명 또한 연장됩니다.
반면 볼에 살집이 없다거나 얄팍한 턱, 송곳같이 쪼뼛한 턱, 뒤로 발랑
젖혀진 턱 등은 50세까지 쌓아두었던 명예나 재물이 산적하다해도 이맘때가 되면 마치 썰물같이
빠져 나가 버리게 됩니다. 그러므로 하정이 빈약하면 자식복이 없다고도 합니다.

관상법 / 수상학 / 마의상법 손금 No.1 인터넷 관상사이트ㆍ사주포럼ㆍwww.SajuForum.co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