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독
HOME > 관상 > 사독
- 마의상법은 관상학의 교과서입니다.
운명을 예지하고, 빈부귀천을 추리하는데 사용되는 관상학의 핵심 이론입니다.
- 사독(四瀆)

- 耳爲江。目爲河。口爲淮。鼻爲濟。
- 이위강。목위하。구위회。비위제。
- 四瀆要深遠成就. 而涯岸不走. 則財穀有成, 財物不耗多蓄積。
- 사독요심원성취. 이애안부주. 즉재곡유성, 재물불모다축적。
-
사독이란 얼굴에서 깊이 들어간 곳이 있는 네 부분을 강(江)에 비유한 것으로 귀, 코, 입, 눈을 말합니다.
사독은 모두 물이 흐르는 것에 비유한 것이므로, 물의 근원이 깊고 장원하며 물구비가 급하지
않을 것이 요구됩니다. 만약 사독 또한 이런 모양새이면 들어오는 재물은 풍성하고 소비는
적을 것이니 풍요로운 인생을 누리게 됩니다.
- 1. 강독(江瀆)
- 耳爲江瀆, 竅要闊而深, 有重城之副, 緊而聰明, 家業不破。
- 이위강독, 규요활이심, 유중성지부, 긴이총명, 가업불파。
-
귀는 강독(江瀆)이라 하여 귓구멍은 넓고 깊어야 하고, 귀바퀴는 성곽이니 두텁고 튼튼해야
할 것이니, 이렇게 되면 총명하고 가업을 잘 보전할 수 있게 됩니다.
- 2. 하독(河瀆)
- 目爲河瀆, 深爲壽, 小長則貴, 光則聰明, 淺則短命,
- 목위하독, 심위수, 소장즉귀, 광즉총명, 천즉단명,
- 昏濁多滯, 圓則多夭, 不大不小貴。
- 혼탁다체, 원즉다요, 불대불소귀。
-
눈은 하독(河瀆)이라 하며, 눈이 깊으면 장수하게 되며 광채가 있어 빛이 나면 총명하고 눈이 가늘고
길면 귀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물기 있는 눈은 가정생활에 비애(悲哀)가 많은 편이며,
눈이 얕으면 단명하고, 흐리고 탁하면 막히는 일이 많고, 동그라면 요절하니 눈은 크지도
작지도 않아야 길상입니다.
- 3. 회독(淮瀆)
- 口爲淮瀆, 要方闊而脣吻相覆載, 上薄則不覆, 下薄則不載,
- 구위회독, 요방활이순문상복재, 상박즉불복, 하박즉부재,
- 不覆不載, 則無壽無晩福, 不覆則家業破。
- 불복부재, 즉무수무만복, 불복즉가업파。
-
입은 회독(淮瀆)이라 하며, 그 모양이 모나고 넓으며 입술은 꽉 다문듯 참하며 살이 두터워야 하며 입끝이
위쪽을 향하고 있어야 좋은 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입술이 열려 다물어지지 않는 사람은 재물의
손실이 많을 것이요, 윗 입술이 얇아 잘 덮이지 않거나 아랫입술이 얇아 제대로 덮이지 못하면
장수 할 수 없고 늙어서 복을 누릴 수 없게 됩니다.
- 4. 제독(濟瀆)
- 鼻爲濟瀆, 要豊隆光圓, 不破不露, 則家必富。
- 비위제독, 요풍륭광원, 불파불로, 즉가필부。
- 코는 제독(濟瀆)이라 하며, 살집이 풍륭하고 빛나며 둥그렇고 윤기가 있으며 비량이나 준두의 격이
깨어지지 않고 뼈가 드러나지 않았다면 그 집안이 반드시 부를 누리게 됩니다.
코가 이그러져 반듯하지 못하거나 콧구멍이 앞에서 뻔히 들여다 보이면 반드시 가난하고 일의 막힘이 많아지게 됩니다.
- 코 문턱과 기둥, 란대, 정위가 잘 생겨야 욕망과 절제력의 중용으로 의롭게 처세를 이루어 나가며, 콧구멍이 작으면 인색하고
코털이 삐죽 나오면 돈이 생기는대로 쓰지 못해 안달이 나는 성질이며, 손재주가 있습니다.

관상법 / 수상학 / 마의상법 손금 No.1 인터넷 관상사이트ㆍ사주포럼ㆍwww.SajuForum.co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