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상담전화
평 일 : 오전 9시 ~ 오후 7시
토요일 : 오전 9시 ~ 오후 3시
|
-
사격론
HOME > 풍수 > 사격론
- 택지의 목적인 생기는 바람을 만나면 흩어지기 쉬우므로 이를 막고
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혈정 주위에는 사격이라 불리는 바람막이가 필요합니다.
사(砂)의 정의

-
사격이란 혈처(穴處)의 생기를 보호하는데 필요한 전후좌우의 봉만(峰巒)을 말한다.
택지(擇地)의 목적인 생기는 바람을 만나면 흩어지기 쉬우므로 이를 막고 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혈정 주위에는 사격이라 불리는 바람막이가 필요한 것이다.
사격이라 이름한 것은 옛적에 풍수를 논할 때 모래를 가지고 여러 가지 지형모양을 만들어 보인데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진다.
용과 혈이 적실하면 사격도 따라서 미려(美麗)하기 마련인데, 이 사격은 사람의 몸에 장식물과 같아서 용혈의 역량과 귀천을 드러내는 증좌가 된다.
사여미인(砂如美人)이나 귀천은 종부(貴賤從夫)라 하여 사격의 기능과 역할은 용혈에 달려있는 것이기는 하나,
사의 미추(美醜)와 유무정(有無情)과 묘험(妙險)이 명당의 발음(發蔭)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사신사(四神砂)
-
혈장을 중심으로 전면에 있는 사. 특히 조안사(朝案砂)를 주작(朱雀), 뒤쪽에 있는 사를 현무(玄武)라 하며
왼편을 청룡(靑龍), 오른쪽을 백호(白虎)라 한다. 사신으로 인하여 병풍을 두르듯 사방이 막히고, 기를 보호하며
혈장앞에 명당(明堂)이 구분 지워지는데 용혈(龍穴)이 충실한 외에, 사신을 고루 갖추어 봉만의 모양이나 행도가 아름답고
기이하고 유정하게 환포하여 혈장을 잘 옹위해주면 금상첨화(錦上添花)로 발복은 불문가지이다.
-
다만 주의를 요하는 것은 조화(調和)를 이루는데 있으니 사격이 압혈(壓穴)을 하면 도리어 불리하고
특히, 사신으로 인해 시위가 폐색되어 외부세계가 보이지를 않고, 용호너머로 십리이내에 붕만이 보이지 않으면
천옥(天獄)이라하여 귀(貴)와는 거리가 멀게 된다.
후고전저(後高前低)하여 뒤로 현무가 높고 앞으로 주작이 낮아야 하며, 양편 용호는 형세가 대등한 것이 좋고,
허리가 끊어지거나 현저히 낮아서 월견(越見)이 되지 않아야 한다.
-
청룡은 장방(長房)과 문귀(文貴)를 백호는 지손과 여식(女息), 그리고 무부(武富)를 주장한다.
청룡중에는 청수한 문필사(文筆砂)가 있고 백호에는 기치(旗幟), 고검(鼓劍), 창고사(倉庫砂)와 같은 사(砂)가 있으면 좋다.
용호는 본신룡에서 출생한 것도 있고 용호중 한 쪽이 먼 산에서 들어와 형태를 갖춘것도 있다.
-
용호의 한쪽이나 양쪽이 혈장을 돌아보지 않고 무정하게 내달리면 좋지 않고, 용호가 이(齒)를
들어내어 서로 싸우는 형상이거나, 용호의 끝이 치솟아 서로 노한기세를 보이면 형제간 우애가 없고
가정이 평온치 못하다. 용호의 허리나 머리 부분에 흉악한 암석이나 사태, 파쇄가 있으면 역시 불가하고,
용호 끝 부분이 혈장을 향해 창검(槍劍)처럼 직충을 해도 흉하다. 용호의 허리가 허약해도 보결사가 너머로 있으면 비보가 된다.
사(砂)의 득위(得位)
-
사격은 혈장에서 볼 때 우미(優美)하고 다정(多情)하고 기이(奇異)하면 좋으나,
같은 사라도 이기(理氣)상으로 생왕방이나, 기타 있어야 할 자리에 위치한(得位) 길사(吉砂)라야 발복을 촉진하며,
득위를 못하고 휴수방(休囚方)에 위치한 사는 있으나 마나한 것이다.
귀인사는 귀인방위, 문필사는 문창방위 창고사는 고장(庫藏)방위, 역마사는 역마방위에 있어야 하고
사격의 형태가 오행이나 구성에 맞게 제 위치를 얻고 포태를 부쳐 생왕방에 길사가 있어야 한다.
-
또한, 외사천인(外砂千仞)이 불여내사일촌(不如內砂一寸)이라 했으니 사격은 먼
곳에 있는 웅장한 것보다 혈장 가까이에 있는 사를 우선시 한다.
선익(蟬翼)이나 월훈(月暈), 하수(蝦鬚), 해안(蟹眼), 우각(牛角)과 같은 사가 소중한 것이며 청룡백호도 내청룡 내백호가 더 귀중한 것이다.
이상의 砂格은 나경에서 인반중침(人盤中針)을 사용하여 득위여부를 분별한다.
삼길육수(三吉六秀)라는 것이 있다.
-
해진경(亥震庚) 삼방을 삼길방(三吉方)이라 하고, 이곳에 수려(秀麗)하고 풍만(豊滿)한 봉만이 서 있으면
부귀하고 장수하는 극품지지(極品之地)가 되는 것이다. 특히 해봉(亥峰)은 천제지위(天帝之位)로 군왕(君王)이
출현하는 소위 자미원국(紫微垣局)에는 반드시 이 해봉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
육수(六秀)라 함은 곧 간병손신태정(艮丙巽辛兌丁)의 6개방위로 간(艮)봉이 병(丙)봉을 천(薦)하고,
손(巽)봉이 신(辛)봉을 천하며 태(兌)봉이 정(丁)봉을 청천해야 양봉이 조응(照應)하여 귀인봉(貴人峰)을
이루니 권귀(權貴)와 재부(財富)를 가히 기약하는 부귀겸전지지가 되는 것이다.
특히 손(巽)봉보다 신(辛)봉이 고용(高聳)해야 인정이 장수하고 복록을 누린다.
오행의 예에 따라 사격에도 金, 木, 水, 火, 土의 오성(五星)이 있다.
- 1. 금성사(金星砂)
-
고이원(高而圓)한 일명 태양금성(太陽金星), 무곡금성(武曲金星), 좌보사(左輔砂)라고도 하는 것으로,
형태가 높고도 상부가 둥글어야 한다. 금성사는 서쪽 경유(庚酉)방이나 관왕방(冠旺方)에 있으면 좋다.
- 2. 목성사(木星砂)
-
고용이직(高聳而直)해야 하며 일명 탐랑성(貪狼星)이라고도 한다.
단정하고 수발(秀拔)하여 충천입운(沖天入雲)하면 장원재보(壯元宰輔)하는데,
방위는 갑묘방(甲卯方)이나 양생방(養生方)에 있어야 한다.
- 3. 수성사(水星砂)
-
상부가 파랑(波浪)처럼 파동굴곡하고 초사지행(草蛇之行)으로 구불구불
이루어진 것으로 일명 문곡성(文曲星)이라 한다. 수성사는 임감(壬坎)방이나 목욕(沐浴)방에 있는 것이 득위이다.
- 4. 화성사(火星砂)
-
불꽃처럼 첨예(尖銳), 삽천(揷天)하며 일명 염정성(廉貞星)이라고 한다.
남방 사병오정(巳丙午丁)이 제자리이기는 하나 화성사가 연방(年方)에 있어 세력이 강하면 화재의 위험이 있다.
- 5. 토성사(土星砂)
-
고원이방(高圓而方)해야 하는 것으로 지붕의 용마루와 같이 생긴다. 일명 거문성(巨文星)이라고도 한다.
진술축미(辰戌丑未), 간곤(艮坤)이 제방위이며 수구에 창고사로 있으면 좋다.
사격의 종류
- 1. 식신(食神)과 왕사(旺砂), 설사(洩砂), 칠살사(七煞砂)
-
가령 화국(火局)에서 고용수발(高聳秀拔)한 탐랑목성(貪狼木星)이 화국(火局)을 조임(照臨)하는 것을 식신이라 하는데,
목이 화를 상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화국(火局)에 불꽃처럼 첨예하고 수려한 염정성(廉貞星)이
조국(照局)을 하면 火가 火를 보았으니 왕(旺)이라 하는 것이다.
예사 또는 설사(泄砂)라 함은 목국(木局)에서 탐라목성이 목위(木位)나 수위(水位)에 있지를 못하고 목생화(木生火)하는
남방화위(南方火位)에 있는 것이다. 이는 목성(木星)이 자신을 소진하여 화방(火方)에 흡수되기 때문이다.
반면 노사(奴砂)라고 하면 목극토의 토성사가 목국(木局)에 있어 힘을 쓸 수 없는 것을 말한다.
칠살사(七煞砂)는 금극사(金剋砂)가 목국에 있을 때, 안사(案砂)는 경좌(庚坐)에 있는
토성체(土星体)처럼 좌방위(坐方位)를 生하여주는 성체(星體)가 좋다.
- 2. 천마(天馬)와 사국마(四局馬)
-
말이란 평시나 전시를 막론하고 신속한 기동력을 상징하기 때문에 입혈(入穴)에 유마(有馬)는 발복을 촉진한다.
마사(馬砂)의 형상은 土星의 한쪽머리가 높고 한쪽이 낮은 것이다.
말중에서도 건해방(乾亥方)과 병오방(丙午方)에 있는 말을 특히 천마(天馬)라 하며 발음이 가장 신속하다고 한다.
그 밖에 사국마(四局馬)라는 것이 있는바, 신자진마거인(申子辰馬居寅), 인오술마거신(寅午戌馬居申),
해묘미마거사(亥卯未馬居巳), 사유축마거해(巳酉丑馬居亥)가 그것이다.
즉 수국은 간인방(艮寅方)에 마(馬)가 있고 화국은 곤신방(坤申方)에,
목국은 손사방(巽巳方)에 금국은 건해방(乾亥方)에 마(馬)가 있다.
- 3. 문필사(文筆砂)
-
문필은 귀인이 글을 쓰는 도구(道具)다. 문필사는 임관방(臨官方)에 있어야 참다운 귀인이다.
임좌병향(壬坐丙向)에 정미사(丁未砂)이면 좌왕향으로 했을 때 손사방(巽砂方)이 임관방이다. 따라서 손봉은 향상의 임관귀인이다.
- 4. 고궤사(庫櫃砂)
-
간(艮), 곤(坤)은 土라 경좌갑향(庚坐甲向)이나 갑좌경향을 자왕향(自旺向)으로 하면 간곤(艮坤)은
향상의 임관위(任官位)가 되는데 간곤방(艮坤方)에 거문토성(巨門土星)의 고괘사(庫櫃砂)가 있으면 부귀가 면면하다.
- 5. 인합사(印盒砂)
-
인(印)은 귀인의 신물(信物)이다. 임관방에 인사(印砂)가 있으면 득위득지(得位得地)를 하였다 한다.
귀인대인(帶印)으로 과갑(科甲)에 오르고 부귀한다. 금인사(金印砂), 옥인사(玉印砂) 등이 있다.
인방인(寅方印)을 백호괘인(白虎掛印), 신방인(申方印)을 원후봉인(猿猴捧印),
사방인(巳方印)을 적사요인(赤蛇繞印), 해방인(亥方印)을 원저공인(元猪拱印)이라 한다.

정통 풍수지리 / 양택풍수 음택풍수 / 풍수 인테리어 No.1 인터넷 풍수지리사이트ㆍ사주포럼ㆍwww.SajuForum.co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