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복오씨(同福吳氏)
유래
  • 시조 : 오현좌(吳賢佐)
  • 시조 오현좌(吳賢佐)는 도시조 오첨의 24세손이다. 그는 1216년(고려 고종 3년)에 계단을 토평한 공으로 동복군에 봉해졌고, 첫째 아들 오령도 동복군에 봉해졌으므로 본관을 동복으로 하였다. 둘째 아들 오숙귀는 군위 오씨로 분관하였다.
  • 주요 인물
    ※ 해당 인물을 클릭하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 오시만(吳始萬, 1647生) : 문과(文科) 숙종2년(1676) 정시 갑과 장원급제
  • 오대관(吳大觀, 1711生) : 문과(文科) 영조8년(1732) 정시 갑과 장원급제
  • 오인영(吳麟泳, 1844生) : 문과(文科) 고종7년(1870) 별시 을과
  • 오대익(吳大益, 1844生) : 문과(文科) 정조0년(1776) 중시 병과
  • 오정일(吳挺一, 1610生) : 문과(文科) 인조17년(1639) 알성시 병과
  • 오단(吳端, 1592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알성시 병과
  • 오병문(吳炳文, 1836生) : 문과(文科) 고종12년(1875) 별시 을과
  • 오시수(吳始壽, 1836生) : 문과(文科) 현종7년(1666) 중시 병과
  • 오억령(吳億齡, 1552生) : 문과(文科) 선조15년(1582) 식년시 병과
  • 오덕영(吳德泳, 1820生) : 문과(文科) 고종1년(1864) 별시 병과
  • 등 모두 110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1명, 무과 6명, 생원진사시 73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항렬자
    23世
    상(相)
    24世
    연(然)
    병(炳)
    25世
    재(在)
    26世
    탁(鐸)
    용(鏞)
    27世
    록(祿)
    28世
    병(秉)
    근(根)
    29世
    묵(默
    30世
    치(致)
    31世
    일(鎰)
    32世
    원(源)
    33世
    동(東)
    34世
    응(應)
    35世
    균(均)
    36世
    종(鍾)
    용(鏞)
    37世
    해(海)
  • ※ 세(世)와 대(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4세손은 23대손)
  • 본관 연혁
  •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
  • 동복(同福)은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에 위치한 지명이다. 백제 때에는 두부지현(豆夫只縣)으로 불리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동복현(同福縣)으로 바뀌어 곡성군(谷城郡)의 영현이 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에는 보성군(寶城郡)에 편입되었다가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395년(태조 3)에 화순(和順)에 편입되었고, 1405년(태종 5)에 화순군에 병합되어 복순(福順)으로 개칭하였다가 1416년(태종 16)에는 현으로 복구하였다. 1655년(효종 6)에 화순군에 합속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 동복군이 되었고, 1896년에 전라남도 동복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동복군이 폐지되고 화순군에 편입되었다.
  •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동복오씨는
    1985년에는 총 11,977가구 50,648명,
    2000년에는 총 17,317가구 55,517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