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덕구(德耉). 호는 묵재(默齋). 직장 세현(世賢)의 아들이다. 1588년(선조 21)에 생원, 진사 양시에 합격하고, 임진왜란 때 왜적이 어머니를 죽이려 하자 몸으로 가로막아 왜적이 그의 효심에 감동해서 살려주어 효자로 이름이 났다. 1594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뽑혀 사관(史官)이 되었고, 이어 정언, 예조와 병조의 좌랑, 재령군수, 응교, 사인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광해군 때 동부승지가 되어 복천군(福川君)에 봉하여졌으며, 천추사로 명나라에 다녀오기도 하였다. 여러 참판을 거쳐 1618년(광해군 10)에 폐모론의 정청(庭請)에 참여하지 않았다가 파직, 성밖에 은거하였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으로 형조참판에 기용되고, 이어 도승지, 대사간, 이조참판, 성균관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이괄(李适)의 난 때에 왕을 공주에 호종한 공으로 승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