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변고적변씨는 원래 중국 주나라 문왕의 여섯째 아들이 처음 조(曺)로 봉해졌다가 후에 노나라 변읍에 봉해지자 성을 변이라 했다. 그후 후손 변원이 당나라에서 벼슬을 하고 예부상서에 오르고 8학사의 한 사람으로 "효경" 한질을 가지고 신라 경덕왕때에 사신으로 와서 정착하여 살았으나 그후의 대는 알 수가 없었으므로, 고려 성종때 문하시중을 지내고, 팔계(초계)군에 봉해진 변정실(卞庭實)을 시조로 하여 대를 잇고있다.
밀양변씨는 초계변씨에서 본관을 나누어 고려때 국자진사가 되고 밀양에서 대대로 살아온 변고적을 1세 조상으로 하고 초계변씨와 대종회를 같이하고 있다.
주요 인물
※ 해당 인물을 클릭하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변강지(卞綱之) : 문과(文科) 성종23년(1492) 별시 병과변종헌(卞鍾獻, 1857生) : 문과(文科) 고종29년(1892) 별시4 병과변삼근(卞三近, 1579生) : 문과(文科) 광해군3년(1611) 별시 병과변구상(卞九祥, 1579生) : 문과(文科) 세종1년(1419) 식년시 병과변삼계(卞三戒, 1613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변이찰(卞爾札, 1663生) : 무과(武科) 숙종15년(1689) 증광시 병과변강(卞綱, 1650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변세걸(卞世傑, 1662生) : 무과(武科) 숙종12년(1686) 별시 병과변이흥(卞爾興, 1651生) : 무과(武科) 숙종12년(1686) 별시 병과변이윤(卞爾玧, 1659生) : 무과(武科) 숙종12년(1686) 별시 병과 등 모두 19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4명, 무과 6명, 생원진사시 11명, 역과 106명, 의과 27명, 음양과 10명, 율과 22명, 주학 10명)※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항렬자
24世
진(鎭) | 25世 사(思) | 26世 준(俊) | 27世 수(洙) | 28世 영(榮) |
29世 환(煥) | 30世 - | 31世 - | 32世 - | 33世 - |
※ 세(世)와 대(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5세손은 24대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밀양밀양(密陽)은 지금의 밀양시 일원에 있던 지명으로 삼한시대에 변한(弁韓)의 일부로 가락국(駕洛國)에 속했으며 미리미동국(彌離彌東國)이 있었다고 한다. 법흥왕 때 신라에 병합되어 추화군(推火郡, 밀벌 또는 미리벌)이 설치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에 밀성군(密城郡)으로 개편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6)에는 밀주(密州)로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 밀성군(密城郡)으로 개편되었다. 1275년(충렬왕 1)에는 군민의 모반 사건으로 귀화부곡(歸化部曲)으로 강등되어 계림부(鷄林府: 慶州)에 편입되었다가 후에 현으로 승격하였다. 1285년에는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다시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에 밀양부로 승격하였다. 조선 1415년(태종 15)에 밀양도호부가 되었다가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경상남도 밀양군이 되었다. 1918년에는 부내면이 밀양면으로 개칭되고 1931년에 밀양읍으로, 1989년 시로 승격하여 독립하였다. 1995년 밀양군이 밀양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밀양변씨는
1985년에는 총 4,088가구 17,288명,
2000년에는 총 5,298가구 16,911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