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화가. 자는 탁지(琢之). 호는 술재(述齋) 또는 형재(荊齋). 동래부 소속의 화원이었다. 1763년(영조 39) 통신사행(通信使行)의 기선장(騎船將)으로 일본에 건너가 대마도지도와 일본지도 및 풍물을 모사하는 등 화원 김유성(金有聲)과 함께 활약하고 돌아왔다. 유작으로 1760년에 개모(改模)한 '동래부순절도 東萊府殉節圖'와 '부산진순절도'(육군박물관 소장), 1783년에 그린 '왜관도 倭館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를 비롯하여, 일본에 남기고 온 '묵죽도'와 '유하마도 柳下馬圖' 등이 전한다. '고화비고 古畵備考'의 조선서화전에는 박동관(朴東觀)의 제찬(題讚)이 있는 그의 산수화가 유전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동래부사의 왜사(倭使)접대광경을 그린 '동래부사접왜사도 東萊府使接倭使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도 화풍으로 보아 그의 작품이 아닌가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