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변성
HOME > 사주 > 통변성
- 통변성은 일간을 기준으로 합니다. 사주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사주명식의 오행을 일간과 대조하여 생하고 극하는 관계를 나타내줍니다.
통변성
-
연원간명(淵源看命)에 따르면, "무릇 운명을 볼 때는 일간을 위주로 하며, 생년은
뿌리가 되어 조상의 재산정도와 세상에서의 흥쇠를 알고, 월령은 부모가 되어 부모의 음덕여부를
알고, 일간은 자기 자신이고, 일지는 처첩이 되어 처첩의 현숙함을 알고, 생시는 자식이
되어 자손의 유무와 말년의 길흉을 안다"라고 했습니다. 통변성은 십신(十神)이라고도
하는데,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합니다. 사주명식의 천간과 지지의 오행을 일간과 대조하여 생(生)하고
극(剋)하는 관계를 나타내 주는 것으로 사주 추명에 있어 기본이 됩니다.
- 비견(比肩)
-
나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성별이 같은 형제, 동료를 뜻합니다.
즉 내가 남자이면 남자형제나 남자 동료가 비견이 됩니다. 독립심과 자존심을 나타냅니다.
- 겁재(劫財)
-
형제나 동료이지만 나와는 성별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여자에게는 남자형제나 남자동료가 겁재에 해당합니다. 자만심과 자기 중심적임을 나타냅니다.
- 식신(食神)
-
나의 기를 적당하게 발휘한 결과입니다.
남녀모두 재능발휘에 해당하고, 여자에게는 자식이 됩니다. 명랑함과 온후함을 나타냅니다.
- 상관(傷官)
-
나의 기를 심하게 발휘한 결과입니다. 남녀 모두 전문적인 재능발휘에 해당하고,
여자에게는 식신처럼 자식이 됩니다. 총명하며 비밀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 편인(偏印)
-
나를 도와주기는 하나 따뜻한 정이 결여되어 부담스러운 것을 말합니다.
외국과의 인연, 요령을 나타냅니다.
- 인수(印綬)
-
나를 따뜻한 정으로 도와주는 것을 말하고, 남녀 모두 어머니에 해당합니다.
어진 사람이나 덕이 많음을 나타냅니다.
- 편재(偏財)
-
내가 거느리고 소유하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것입니다.
남녀 모두 재산과 아버지에 해당하고, 남자에게는 편처가 됩니다. 활발한 대인관계를 나타냅니다.
- 정재(正財)
-
내가 자연스럽게 거느리고 소유할 수 있는 것입니다. 남녀 모두 재산에 해당하고,
남자에게는 아내가 됩니다. 정직과 성실을 나타냅니다.
- 편관(偏官)
-
나를 기속하는 정도가 매우 강한 것을 말합니다. 남녀 모두 직업에 해당합니다.
남자에게는 자식이고, 여자에게는 편부가 됩니다. 모험심과 특이성을 나타냅니다.
- 정관(正官)
-
나를 적당하게 기속하면서 명예를 부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남녀 모두 직장에 해당합니다.
남자에게는 자식이고, 여자에게는 남편에 해당합니다.

정통 사주분석 / 무료 사주 / 우리아이 사주 No.1 인터넷 사주사이트ㆍ사주포럼ㆍwww.SajuForum.co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