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성송씨(冶城宋氏, 야로)
유래
  • 시조 : 송맹영(宋孟英)
  •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때 간의대부 총부의량을 지내고 야성(야로)군에 봉해졌다. 그래서 본관을 야성(야로)으로 하였다.
  • 주요 인물
    ※ 해당 인물을 클릭하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 송광벽(宋光璧, 1628生) : 문과(文科) 현종4년(1663) 식년시 병과
  • 송응망(宋應望, 1743生) : 문과(文科) 정조7년(1783) 식년시 병과
  • 송심기(宋心基, 1714生) : 문과(文科) 영조17년(1741) 식년시 병과
  • 송유식(宋儒式, 1688生) : 문과(文科) 영조2년(1726) 식년시 을과
  • 송홍기(宋弘基, 1682生) : 문과(文科) 영조23년(1747) 식년시 병과
  • 송이창(宋履昌, 1678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28년(1702) 식년시
  • 송학렴(宋學濂, 1719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35년(1759) 식년시 삼등
  • 송홍익(宋鴻翼, 1802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25년(1825) 식년시 이등
  • 송식(宋○, 1639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10년(1684) 식년시 이등
  • 송원기(宋遠器, 1548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6년(1573) 식년시 삼등
  • 등 모두 2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5명, 생원진사시 23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항렬자
    27世
    정(廷)
    28世
    능(能)
    29世
    인(寅)
    30世
    익(翼)
    31世
    선(善)
    32世
    준(浚)
    33世
    근(根)
    34世
    -
    35世
    -
    36世
    -
  • ※ 세(世)와 대(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8세손은 27대손)
  • 본관 연혁
  •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합천군
  • 야성(冶城)은 야로(冶爐)의 다른 호칭인데, 야로는 경상남도 합천군(陜川郡)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본래 신라 때 적화현(赤火縣)이었던 것을 경덕왕(景德王)이 야로(冶爐)로 고쳐서 고령군(高靈郡)의 영현(領縣)으로 삼았다가 1018년(현종 9)에 합천(陜川)에 합해졌다. 지금의 합천군 야로면 구정동(陜川郡 冶爐面 九汀洞) 부근으로 전해지고 있다.
  •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야성송씨는
    1985년에는 총 3,533가구 14,458명,
    2000년에는 총 5,765가구 18,341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