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이씨(高靈李氏)
유래
  • 시조 : 이헌(李憲)
  • 시조 이헌(李憲)은 고려시대에 예부상서(禮部尙書)를 거쳐 평장사(平章事)를 지내고 고령군에 봉해지자 후손들이 고령을 본관으로 하였다.
  • 인물
    이헌의 아들 이언(李彦)은 고려 때에 좌복야를 지내고, 이미숭(李美崇)은 장군이었다.
    주요 인물
    ※ 해당 인물을 클릭하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 이성립(李誠立, 1573生) : 문과(文科) 선조36년(1603) 식년시 병과
  • 이중립(李中立, 1570生) : 문과(文科) 선조36년(1603) 식년시 병과
  • 이천남(李天男, 1581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
  • 이세백(李世白, 1602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
  • 이규승(李奎升, 1630生) : 무과(武科) 현종7년(1666) 별시 병과
  • 이이선(李二善, 1661生) : 무과(武科) 숙종10년(1684) 정시 병과
  • 이원룡(李元龍, 1827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9년(1882) 증광시 이등
  • 이수방(李秀芳, 1651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7년(1681) 식년시 이등
  • 이기석(李基錫, 1855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9년(1882) 증광시 삼등
  • 이인핵(李仁核, 1720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44년(1768) 식년시 삼등
  • 등 모두 1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무과 4명, 생원진사시 6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항렬자
    17世
    배(培)
    18世
    인(寅)
    19世
    조(朝)
    20世
    정(正)
    21世
    직(直)
  • ※ 세(世)와 대(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8세손은 17대손)
  • 본관 연혁
  •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고령
  • 고령(高靈)은 경상북도 남서쪽에 위치한 지명으로 대가야국의 중심지로 이진아고왕(伊珍阿鼓王: 內珍朱智)으로부터 도설지왕(道設智王)까지 16대 520년간을 계승해 오다가 562년(신라 진흥왕 23) 신라에 병합되었고, 757년(경덕왕 16)에 고양군(高陽郡)으로 강주(康州: 晉州)의 관할이 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 영천현(靈川縣)으로 개편되어 경산부(京山府: 星州)에 속하게 되었다. 1175년(명종 5)에 감무를 두었다. 1413년(태종 13)에 고양군과 영천현을 고령현(高靈縣)으로 병합하고, 1895년(고종 32) 지방재정 개정으로 성주군(星州郡)과 현풍군(玄風郡)의 일부를 통합한 고령군이 되었다. 1975년 고령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고령이씨는
    1985년에는 총 1,108가구 5,062명,
    2000년에는 총 882가구 2,765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