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성차씨(龍城車氏)
유래
  • 시조 : 차우상(車遇尙)
  • '전고대방(典故大方)'에 시조만 나타날 뿐 문헌이 없어 본관의 유래 등은 알 수 없다.

    - 차중립(車仲立)의 아들 군수(郡守) 차달원(車達遠)의 후손이라고도 전한다.
  • 과거급제자(조선시대)
  • 차달원(車達遠, 1602生) : 문과(文科) 인조5년(1627) 식년시 병과
  • 차만리(車萬里, 1660生) : 문과(文科) 숙종10년(1684) 식년시 병과
  • 차치건(車致建, 1601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
  • 차응상(車應祥, 1601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
  • 차득현(車得賢, 1603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
  • 차기(車杞, 1559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
  • 차운궤(車雲軌, 1613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
  • 차의발(車義○, 1642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을과
  • 차승중(車承重, 1593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
  • 차덕녕(車德寧, 1558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
  • 등 모두 3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무과 28명, 생원진사시 3명, 역과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본관 연혁
  • 본관소재지 : 경기도 화성
  • 용성(龍城)은 경기도 화성군의 옛 이름이다.
  •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용성차씨는
    1985년에는 총 51가구 228명,
    2000년에는 총 109가구 359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