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한산조씨(韓山趙氏)의 유래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조정위(趙廷偉)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조태기(趙台基, 1851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2년(1885) 식년시 삼등조호문(趙鎬文, 1874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5년(1888) 식년시 삼등조의진(趙義鎭, 1726生) : 역과(譯科) 영조23년(1747) 식년시조기환(趙琦煥, 1808生) : 역과(譯科) 헌종6년(1840) 식년시 조휘서(趙徽緖, 1714生) : 역과(譯科) 영조11년(1735) 식년시 조재영(趙在榮, 1875生) : 역과(譯科) 고종28년(1891) 식년시 조인벽(趙仁璧, 1691生) : 역과(譯科) 숙종39년(1713) 증광시 조재창(趙在昌, 1853生) : 역과(譯科) 고종17년(1880) 증광시 조호익(趙鎬翊, 1867生) : 역과(譯科) 고종25년(1888) 식년시 등 모두 3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생원진사시 2명, 역과 30명, 의과 1명, 음양과 5명)※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서천한산(韓山)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본래 백제 때에는 마산현(馬山縣), 우두성(牛頭城)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가림군(嘉林郡: 林泉)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한산으로 고쳤다. 1175년(명종 5) 감무(監務)를 두었고 홍산(鴻山)을 겸임하였고, 후에 지한주사(知韓州事)로 승격되었다가 1413년(태종 13) 한산군(韓山郡)이 되었다. 1895년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홍주부 한산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충청남도 한산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서천군에 병합되어 지금은 한산면으로 남아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한산조씨는
1985년에는 총 37가구 161명,
2000년에는 총 168가구 536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