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해정씨(平海鄭氏)
유래
  • 시조 : 정자함(鄭自咸)
  • 시조 정자함(鄭自咸)은 신라초에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왕으로 옹립한 진지촌장(珍支村長) 지백호(智伯虎)의 40세손이며 평부상서(刑扶尙書) 정세유(鄭世裕)의 아버지로 고려시대에 사성(司成)을 지냈다고 한다.
    문헌이 전하지 않아 유래 등은 알 수 없다.
  • 본관 연혁
  •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울진
  • 평해(平海)는 경상북도 울진군(蔚珍郡)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와 신라에 속했을 때의 근을어현(斤乙於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평해로 고쳐 유린군(有隣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현종 때 예주(禮州)의 영현이 되었고, 1172년(명종 2)엔 지군사로 승격되었다. 1466년(세조 12)에 군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에 군면 폐합으로 울진군 평해면이 되었고, 1963년에는 울진군이 강원도에서 경상북도로 이관되었다. 1980년 평해읍으로 승격되었다.
  •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평해정씨는
    1985년에는 총 14가구 84명,
    2000년에는 총 79가구 263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