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산전씨(竹山全氏)
유래
  • 시조 : 전한(全閒)
  • 시조 전한은 도시조 전섭의 28세손으로 고려 고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밀직부사로서 1231년 몽고군이 침입할 때 공을 세워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죽산군에 봉해졌다. 그후 후손들이 정선전씨에서 분관하여 죽산을 본관으로 하고 있다.
  • 과거급제자(조선시대)
  • 전인보(全仁卜, 1591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
  • * 모두 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본관 연혁
  • 본관소재지 : 경기도 안성
  • 죽산(竹山)은 경기도 용인시(龍仁市)과 안성시(安城市) 일부에 속해있던 옛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의 개차산군(皆次山郡)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개산군(介山郡)으로 고쳤다. 고려 초에 죽주(竹州)로 고치고, 995년(성종 14)에 단련사(團練使)를 두어 음평(陰平) 또는 연창(延昌)이라 하였으며, 현종 때 광주(廣州)로 속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죽산현(竹山縣)으로 개칭하여 감무(監務)를 두었고, 1543년(중종 38) 죽산도호부(竹山都護府)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죽산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에 이관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원일면(遠一面)과 근삼면(近三面) 일부는 용인군(龍仁郡)에 합해지고, 나머지 지역은 안성군(安城郡)에 편입되었다.
  •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죽산전씨는
    1985년에는 총 2,688가구 11,037명,
    2000년에는 총 3,439가구 11,229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