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배천장씨(白川張氏)의 유래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장유함(張裕咸, 1621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장경유(張景維, 1714生) : 역과(譯科) 영조8년(1732) 식년시장만휘(張萬徽, 1649生) : 역과(譯科) 현종7년(1666) 식년시 장원익(張遠翼, 1654生) : 역과(譯科) 숙종1년(1675) 증광시 장욱(張旭, 1625生) : 역과(譯科) 인조26년(1648) 식년시 장후준(張後浚, 1659生) : 역과(譯科) 숙종16년(1690) 식년시 장원핵(張遠○, 1659生) : 역과(譯科) 숙종4년(1678) 식년시 장재성(張再成, 1747生) : 역과(譯科) 영조50년(1774) 증광시 장후령(張後齡, 1747生) : 역과(譯科) 숙종8년(1682) 증광시 장상건(張尙騫, 1635生) : 역과(譯科) 현종7년(1666) 식년시 등 모두 1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역과 11명, 의과 6명, 음양과 1명)※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연백배천(白川)은 황해도 남동부에 위치한 연백군(延白郡)의 옛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 때 도랍현(刀臘縣) 또는 치악성(雉嶽城)이라 하였다. 신라 경덕왕 때는 구택현(雊澤縣)으로 개편하여 해고군(海皐郡)가 관할하였다. 고려 초에 배주(白州)로 바뀌어 개흥부·충익현·부흥군 등으로 불리우다가 의종 때 개흥부지사로 승격되었다. 1369년(공민왕 18) 다시 배주로 환원되었다. 1413년(태종 13) 배천군으로 개칭되었다. 1915년 연안군(延安郡)과 병합하여 연백군이 되었고 1953년 이후 황해도 연백군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배천장씨는
1985년에는 총 22가구 77명,
2000년에는 총 282가구 928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