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임희(林曦)시조 임희(林曦)는 고려 혜종왕의 왕비 의화왕후(義和王后)의 아버지이며 평택임씨에서 분관 했다.
주요 인물
※ 해당 인물을 클릭하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임수경(林秀卿) : 문과(文科) 단종2년(1454) 식년시 정과임기룡(林起龍, 1588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임뇌(林賚, 1599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병과임응엽(林應曄, 1590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임계(林桂, 1559生) : 무과(武科) 선조17년(1584) 별시 병과임수형(林秀○, 1555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임전(林○, 1874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31년(1894) 식년시 삼등임우하(林雨夏, 1844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1년(1874) 증광시 삼등임후(林○, 1874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31년(1894) 식년시 삼등임천량(林天樑, 1688生) : 역과(譯科) 숙종34년(1708) 식년시 등 모두 1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5명, 생원진사시 3명, 역과 1명, 의과 2명)※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진천(鎭川)은 충청북도(忠淸北道) 북서쪽 끝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고구려 때 금물노군(今物奴郡) 또는 수지군(首知郡)·신지군(新知郡) 등으로 불렸다가 5세기 후반 신라의 북진에 따라 신라의 영토가 되어 484년(소지왕 6) 만노군(萬弩郡)이 설치되었다. 685년(신라 신문왕 5) 흑양군(黑壤郡)으로 개칭하였고, 도서현(都西縣)과 음성현(陰城縣)을 영현으로 관할하였다. 고려 초에 와서 강주(降州)로 불렸다가 진주(鎭州)로 개칭하였고, 995년(성종 14)에 자사(刺史)를 두었다가, 1005년(목종 8)에 폐지하였다. 1018년(현종 9)에 청주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1259년(고종 46) 창의현(彰義縣)으로 승격 분리하여 현령(縣令)을 두었으며, 1269년(원종 10)에 의령군(義寧郡)으로 승격되었다가 뒤에 다시 진천으로 강등되어 감무(監務)가 파견되었다. 1414년(태종 14)에 진천현으로 되어 현감(縣監)을 두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충주부 진천군이 되었고, 1896년 충청북도 진천군이 되었다. 1973년에 진천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진천임씨는
1985년에는 총 485가구 1,890명,
2000년에는 총 909가구 2,823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