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이무재(李茂材)시조 이무재(李茂材)는 성산(星山: 성주의 옛 이름)에서 대대로 살아온 사족(士族)으로 고려 말에 사재동정(司宰同正)을 지냈다.
이무재(李茂材)의 증손자 이능(李能)이 나라에 공을 세워 광평(廣平: 성주의 옛 이름)군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광평으로 하여 왔으나, 지금은 성산으로 쓰고 있다.
본래 성주에는 여섯 가문의 이씨가 살아 오면서 조선 정조 이전까지는 다같이 본관을 성주로 사용했으나, 그 후 각각 성주, 광평, 성산, 경산, 벽진, ·가리로 본관을 달리했다.
- 참고 : 인구수와 과거급제자는 이능일계의 성산이씨와 구분이 안된 것이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홍원(李弘源, 1757生) : 문과(文科) 정조22년(1798) 식년시 병과이공장(李公檣, 1757生) : 문과(文科) 중종10년(1515) 별시 병과이충건(李忠楗, 1757生) : 문과(文科) 중종10년(1515) 별시 병과이춘복(李春復, 1719生) : 문과(文科) 영조29년(1753) 식년시 병과이기선(李箕善, 1805生) : 문과(文科) 철종13년(1862) 정시 병과이부의(李復義, 1604生) : 무과(武科) 인조22년(1644) 별시 병과이복남(李福男, 1603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이희변(李希邊, 1591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이정건(李廷建, 1593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이연외(李連外, 1575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 등 모두 5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5명, 무과 15명, 생원진사시 36명, 음양과 2명)※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성산(星山)은 경상북도 남서쪽에 위치한 성주(星州)의 옛 지명이다. 6가야연합국의 하나인 성산가야국(星山伽倻國)의 영토였다. 6세기 무렵 신라의 세력권에 들게 되어 벽진군(碧珍郡) 또는 본피현(本彼縣)이라 하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신안현(新安縣)으로 개칭하여 성산군(星山郡)에 속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경산부(京山府)로 승격하였다가 980년(경종 6)에 광평군(廣平郡)으로 강등하여 개칭되었다. 995년(성종 14) 대주(岱州)로 바뀌어 도단련사(都團練使)를 두었으며 1018년(현종 9)에는 다시 경산부로 환원되었다. 1295년(충렬왕 21)에 와서는 흥안도호부(興安都護府)를 두어 성주목(星州牧)으로 승격하였으나, 1310년(충선왕 2) 다시 경산부로 강등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성주목으로 승격되었다가 이후 1616년(광해군 9)에는 신안군으로, 1631년(인조 1)에는 신안현으로 개칭되어 강등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성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는 경상북도 성주군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관할면이 성주·벽진면 등 9개면으로 폐합되었고, 1979년에 성주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성산이씨는
1985년에는 총 16,094가구 64,735명,
2000년에는 총 23,729가구 75,210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