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여술(汝述), 자호(自號)는 수우(守愚). 참봉 동민(東民)의 아들이다. 어릴 때 부모를 모두 여의고 둘째 고모와 숙부 밑에서 자랐다. 처음에는 김장생(金長生) 으로부터 학문의 기초를 배웠으며, 뒤에는 김현성(金玄成)에게 사사하였다. 정치가 어지러웠던 광해군 때에는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으나, 그뒤 인조반정에 참여한 공로로 6품직에 특제(特除)되어 장례원사평(掌隷院司評), 인제현감을 지냈다. 정묘호란 이후 군자감(軍資監), 장흥고주부(長興庫主簿)를 거쳐 지평현감(砥平縣監)이 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 때에는 현의 군사들을 모두 이끌고 남한산성으로 들어가 수성군(守城軍)과 합류하였다. 그뒤 금구(金溝), 양천(陽川), 단양(丹陽)의 수령을 두루 역임하고, 1663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거쳐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