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선여(善餘). 호는 송촌(松村). 아버지는 승지 낙(洛)이고, 어머니는 찰방 김훈(金壎)의 딸이다. 1610년(광해군 2) 진사가 되었으나 조정에서 폐모론이 일자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청주의 상당산(上黨山)아래에 살면서 독서를 하였다. 인조반정 후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희릉재랑(禧陵齋郞)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여 나아가지 않았고,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200인을 모병하여 행재소(行在所) 공주로 달려가 인조가 상경하는 것을 호가(扈駕)한 공으로 6품직을 제수받았다. 주부, 감찰 등을 지낸 뒤 벼슬을 그만두고 돌아갔다가 다시 수령에 천거되어 구례현감에 제수되었으나, 조정의 명을 받기 전에 죽어 부임하지는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