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급지(汲之). 호는 영호정(映湖亭). 효령대군(孝寧大君)의 7대손이다. 문음으로 훈련도정이 되고, 1636년(인조 14)병자호란 때에 죽산부사로서 왕이 피난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군사를 이끌고 남한산성에 이르니 왕이 기특하게 생각하고 특별히 금장식이 달린 허리띠와 그릇〔金帶金圈〕을 하사하였다. 화의를 강경히 반대하는 소를 올리고 공조참판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그의 아들 상원(尙元)도 집안 장정들을 이끌고 의병을 모집하여 청주에 이르렀으나 화의의 비보를 듣고 통곡하며 돌아갔다. 뒤에 조정에서 그 사실을 알고 '절의록 節義錄'에 기록하였다. 그는 문재에 뛰어났는데, 특히 글씨를 잘 썼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