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계훈(季薰). 금계군(錦溪君) 인수(仁壽)의 둘째아들로 숙부 금평군(錦平君) 의수(義壽)에게 입양되었다. 어려서 최립(崔○) 에게서 글을 익히고, 1605년(선조 38)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1613년(광해군 5) 계축옥사에 이어, 1618년 인목대비의 폐모론이 일어나자, 그는 생원의 신분으로 성균관유생 300명과 함께 상소하여 그 불가함을 간하다가 5년간 옥에 갇혔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풀려나와 1631년(인조 9) 의금부도사가 되고, 1635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판교에 특진되고 이어 북청도호부판관으로 전직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으로 남한산성이 포위되자, 그는 각 고을에 격문을 발하고 의병 3, 000여명을 모집하여 남진하다가 영흥에 이르러 이미 강화가 성립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군사를 파하고 돌아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