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경회(景晦). 아버지는 증찬성 호(鎬), 어머니는 전의이씨이며, 큰아버지인 석(錫)에게 입양되었다. 정지운(鄭之雲)의 문인으로 여러 차례 과거에 실패하고 음보로 활인서별제, 사포서별제, 수운판관(水運判官), 통례원인의, 감찰, 종부시주부, 호조좌랑, 공조좌랑, 형조정랑, 호조정랑, 종친부전적, 통례원상례 등을 역임하였다. 외직으로는 교하현감, 임피현령 및 청도, 단양 등 여러 고을의 군수를 거쳐 광주목사(廣州牧使)를 지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 체찰사 정철(鄭澈)의 종사관으로 종군하였다. 이듬해 관병과 의병의 연합군을 이끌고 수원의 독성산성(禿城山城)을 지키다가 정철이 무고를 당하자 낙향하였다. 그뒤 조정에서 호패법(號牌法)을 시행하려 하자 그 불편한 점을 상소하였고, 정여립(鄭汝立)을 여러 차례 규탄하였다. 재질이 민첩하고 지략이 뛰어났다. 만년에 수직(壽職)으로 가선대부에 첨지중추부사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