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효자. 자는 군정(君貞). 호는 졸암(拙庵) 또는 낙빈(洛濱). 직산(稷山) 출신. 세종의 제4남 임영대군(臨瀛大君) 구의 후손이며, 당은부수(唐恩副守) 휘(徽)의 아들이다. 1559년(명종 14)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562년 저작에 재직 중 효행으로 형조좌랑으로 특진되었으며, 사헌부장령 때 중 보우(普雨)의 죄상을 논핵하였다가 제주도에 유배되었다. 또한, 일찍이 을사사화 때의 소윤파인 이기(李○), 정순붕(鄭順朋), 임백령(林百齡) 등의 보익공신(保翼功臣)호를 삭탈하는 전지(傳旨)를 올려 간흉(奸凶)의 죄상을 폭로하기도 하였다. 효성이 지극하여 어머니가 죽자 3년 동안 죽을 먹으며 피눈물을 흘리다가 마침내 실명하기에 이르렀다. 탈상한 뒤 승지에 제수되었는데 실명한 자를 왕 가까이 두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반대하니 명종이 교서를 내려 '사람들은 그의 눈을 미워하지만 나는 그의 눈을 사랑한다. '라고 하여 임금의 그에 대한 사랑이 매우 깊음을 나타내었다. 벼슬은 충청도관찰사 까지 승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