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자는 성보(誠甫). 호는 세한재(歲寒齋). 아버지는 증영의정 갑조(甲祚)이며, 어머니는 선산곽씨(善山郭氏)로 봉사(奉事) 자방(自防)의 딸이다. 조선 중기의 거유 송시열(宋時烈)의 아우로서 김장생(金長生)을 사사하였으며, 1659년(효종 10) 향천(鄕薦)으로 내시교관(內侍敎官)에 제수되고, 그뒤 장흥고주부(長興庫主簿), 영산현감(靈山縣監)을 역임하고, 뒤에 의금부도사로 재직하다가, 1664년(현종 5) 지방으로 내려가 청안현감(淸安縣監)으로 근무하였다. 곧이어 사헌부감찰을 거쳐 익산군수로 재직하던 중 해마다 흉년이 들어 고을 주민들이 생업에 안주하지 못하자, 진구정책(賑救政策)을 시행하여 빈민을 구제하였고, 1672년 장성부사로 재직시에는 필암서원(筆巖書院) 등을 세워 학자를 초빙하여 사민(士民)을 교육시킴으로써 문풍을 진작시켰다. 1674년 형 시열이 덕원에 유배되자 벼슬을 그만두고 따라가 시중을 들면서, 이때부터 그가 죽을 때까지 당시 치열하였던 당쟁의 전말, 이에 대한 조정의 처리과정, 형 시열이 여러 차례 유배된 배경 등을 일기형식으로 저술하기도 하였다. 한편, 1680년(숙종 6) 정변으로 노론이 집권하자 사섬시주부(司贍寺主簿), 장악원첨정(掌樂院僉正), 군자감정(軍資監正) 등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충청도 보은의 금적산(金積山) 아래에 일경재(一敬齋)를 지어 후진교육에 전념하였다. 그뒤 1689년 다시 시열이 제주도에 유배되었을 때 따라갔다가 그곳에서 풍토병으로 죽었다. 저서로는 '세한재유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