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기의 문신. 자는 회백(晦伯). 좌참찬 극핍(克○)의 아들이다. 1513년(중종 8) 진사시에 합격, 1519년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홍문관의 부정자(副正字), 저작(著作) 등을 지냈다. 기묘사화 후 현량과가 파과(罷科)된 뒤에 음직(蔭職)으로 남아 있다가, 다시 1524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때 모든 현량과 출신들이 쫓겨났으나 홀로 조정에 남아 있어서 사림의 비난을 받았다. 그뒤 1525년 형조좌랑에 이어 예조참의, 도승지, 경기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명종 연간에 윤원형(尹元衡)과 함께 을사사화를 일으킨 주역으로 윤임(尹任)이 봉성군(鳳城君) 원을 추대하여 대위(大位)를 엿본다고 무고하여, 이른바 을사추성정난공신(乙巳推誠定難功臣)이 되어 광평군(光平君)으로 봉해졌고, 개성유수, 형조참판, 평안도관찰사, 동지중추부사, 호조참의, 우참찬을 역임하였다. 그뒤 다시 병조판서, 이조판서 겸 판의금부사, 의정부좌찬성, 지경연사, 판돈령부사 등을 지냈다. '중종실록'에는 '오직 시의(時議)에 따라 붙는 것으로 발신(發身)의 발판으로 삼았다.'고 평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사림의 지탄의 대상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선조가 즉위하자마자 대간의 탄핵을 받아 1567년(선조 즉위년)에 삭탈관직의 주장이 있었고, 죽은 뒤에 충훈부(忠勳府)에서 대신의 예에 따라 장례를 치르도록 함으로써 또다시 그 부당함을 주장하는 논란이 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