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김전(金詮)
  • 연안김씨(延安金氏),  출생~사망 : 1458 ~ 1523
조선 전기의 문신. 자는 중륜(仲倫). 호는 나헌(懶軒). 지중추부사 우신(友臣)의 아들이다. 1472년(성종 3) 진사가 되었고, 1489년 식년문과에 장원, 예안현감(禮安縣監), 홍문관수찬을 역임했으며, 성종이 유신들로 하여금 피폐한 고을의 수령으로 부임하도록 하였을 때 예안현감이 되어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이 생사당(生祠堂)을 세우기도 하였다. 1496년(연산군 2) 신용개(申用漑), 김일손(金馹孫) 등과 함께 사가독서(賜暇讀書) 한 뒤 전한(典翰)이 되었으며, 춘추관편수관을 겸하여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해에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파직당했다가 1501년 부호군(副護軍)으로 다시 서용되고, 1504년 성균관대사성에 올랐으나 갑자사화로 다시 좌천되었다. 중종반정 뒤 예조참판(禮曹參判) 겸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로 승진되었으며, 이어 이조참판, 호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조광조(趙光祖) 등의 사림파가 득세한 1513년에서 1519년 사이에는 지중추부사, 우참찬, 이조, 형조, 예조, 공조의 판서, 한성부판윤, 우찬성 등을 역임하면서 현량과(賢良科)의 설치 등 사림파의 개혁정치에 반대론을 전개했다. 1518년 찬집청당상(撰集廳堂上)으로 신용개, 남곤(南袞) 등과 함께 '속동문선'을 왕에게 찬진하였다. 1519년 판중추부사가 되었으며, 남곤, 심정(沈貞) 등과 함께 기묘사화를 일으켜 조광조 등 사림파를 축출하고 정권을 장악하였다. 그 공로로 원종공신이 되었으며, 우의정을 거쳐 1520년 영의정 겸 세자사(世子師)가 되었다. 항상 청렴결백하고 문장에도 능하였으나, 기묘사화를 일으킨 배후인물로 지목되어 후세인들로부터 많은 비난을 받았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