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말기의 문신. 일명 동한(東翰). 자는 순명(舜鳴). 호는 과재(果齋) 또는 일범(一帆). 아버지는 참판 시표(時杓)이며, 어머니는 정완(鄭○)의 딸이다. 족대부(族大父) 복추(福樞)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82년(고종 19)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893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 홍문관수찬, 사헌부정언 등을 거쳐 1898년 통정대부에 오르고, 1900년 비서원승(○書院丞)이 되었다. 1901년 관직에서 물러나면서 9조의 소(疏)를 올렸는데 모두 시사(時事)의 급무(急務)였다. 1905년 이완용(李完用) 등 을사오적이 왜병을 이끌고 대내(大內)로 들어와 을사조약을 체결하였다는 변고를 듣고 협약의 철회와 적신(賊臣)의 주륙(誅戮)을 상소하였고, 한일합방이 되자 가야산(伽倻山)으로 들어가 두문불출,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저서로는 '과재문집' 11권 5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