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이서(李曙)
  • 전주이씨(全州李氏),  출생~사망 : 1580 ~ 1637
조선 중기의 무신. 자는 인숙(寅叔). 호는 월봉(月峰).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후손으로, 목사 경록(慶祿)의 아들이다. 1603년(선조 36)무과에 급제하여 행사용(行司勇), 진도군수 등을 지내고, 1618년(광해군 10)대북파에서 폐모론이 일어났을 때 정청(庭請)에 불참하였는데 무인으로서 정청에 불참한 사람은 그뿐이었다. 그뒤 장단부사로 경기방어사를 겸하였고, 1623년 인조반정 때 김류(金○), 이귀(李貴) 등과 함께 공을 세워 호조판서에 승진되고 정국공신(靖國功臣)1등에 책록되었으며 완풍군(完豊君)에 봉하여졌다. 이어 경기관찰사로 전임하였는데,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반란이 일어나자 관찰사로 부원수(副元帥)를 겸하여 적을 추격, 송도(松都)에 이르렀으나, 여러가지 어려운 사정으로 요해처에 웅거한 채 출전하지 못하여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곧 다시 서용되어 완풍군에 봉하여졌다. 이어 총융사(摠戎使)로서 왕에게 건의하여 남한산성을 수축하고 군량을 많이 확보하였으며, 삼혈총(三穴銃)과 조총(鳥銃)을 많이 제조하여 적의 침공에 대비하였다. 인조는 그의 공을 높이 평가하여, 경연(經筵) 특진관(特進官)으로 삼아 국방문제를 항상 상의하고는 하였다. 1628년 형조판서를 거쳐 1632년에는 특명으로 공조판서가 되어 각처에 산성을 수축하여 청나라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1634년 판의금부사를 겸하였고, 1636년 병으로 일시 사직하였다가 곧 훈련도감제조를 거쳐 병조판서로 기용되어 군비를 갖추는 데 힘썼다. 이해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어영제조(御營提調)로 왕을 호종하고 남한산성에 들어가 지키다가 이듬해 정월에 적군이 겹겹이 포위하고 항복을 재촉하는 가운데 군중에서 죽었다. 독서를 좋아하였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남한산성의 온조왕묘(溫祚王廟)와 인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화포식언해 火砲式諺解'와 '마경언해 馬經諺解'가 있다. 시호는 충정(忠正)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