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무신. 자는 사형(士馨). 순천부사(順天府使) 응정(應鼎)의 아들이다. 1594년(선조 27)에 무과에 급제하여 무관직에 등용, 1596년에 선전관으로 비변사의 낭관을 겸하였다. 1614년(광해군 6)에 군기시주부로서 북쪽 오랑캐를 방어하는 방책을 건의하였으나 채택되지 않았다. 1618년에 명나라의 요청에 따라 우영천총(右營千摠)이 되어 원수 강홍립(姜弘立)과 함께 북정(北征)하였다. 그해에 도총부도사로 승직되었다. 이듬해인 1619년에 부차(富車)에서 적을 치던 중 좌우 산속에 매복하고 있던 적 수천명이 불시에 협공해오자 겁을 집어먹은 주장 이일원(李一元)이 말머리를 돌려 도망치자 그는 이일원을 크게 꾸짖었으나 소용이 없었다. 그는 좌영장 김응하(金應河)와 힘을 합쳐서 적은 병력으로 계속 진전(進戰)을 기도하면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8, 9차례나 싸웠으나 도저히 승산이 없었다. 그는 백마를 타고 적진에 돌진하여 수많은 적을 죽인 뒤에 스스로 칼을 물고 김응하와 함께 자결하였다. 뒷날 현종 때에 이단하(李端夏)의 상소에 따라 참판에 추증되고, 정문이 세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