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무신. 자는 문백(文佰). 간(侃)의 현손이다. 선조 때 무과에 급제하였고, 1583년(선조 16) 아산진(阿山鎭)을 지킬 때 여진인이 쳐들어오자 이를 격퇴하여 동방의 비장군(飛將軍)이라 불렸다. 이해 이탕개(尼湯介)의 침입을 물리쳐 그 공으로 선조 로부터 악비(岳飛)의 '정충록 精忠錄'을 하사받고 이산군수가 되었다. 1588년 탐오하다 하여 군수직에서 파직되었으나, 그뒤 다시 제주목사, 전라도방어사 등을 지냈다. 흥양(興陽: 지금의 高興)의 세충사(世忠祠)에 제향되고,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양(忠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