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배렴(裵濂)
  • 성산배씨(星山裵氏),  출생~사망 : 1911 ~ 1968
한국화가. 호는 제당(霽堂). 경상북도 금릉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 한학(漢學)을 수학하는 한편, 금릉청년학관 중등과를 수료하고 서울로 올라와 이상범(李象範)의 화숙(畵塾)에서 전통화법을 공부하였다. 1929년의 제9회 서화협회전람회(書畵協會展覽會)에 처음으로 '만추 ○秋'를 출품한 뒤 1936년 서화협회의 마지막 전람회까지 해마다 출품하였다. 1930년부터는 조선미술전람회(약칭 鮮展)에도 출품하여 입선을 거듭하고, 1936년과 1943년에는 '요원 遼遠'과 '산전 山田'이 특선에 올랐다. 그 시기의 전람회 출품작들은 전적으로 스승인 이상범의 작풍(作風)과 화의(畵意)를 본받은 수묵담채(水墨淡彩)로 향토적 풍경을 주로 묘사한 것들이었다. 1940년 29세의 신예로 서울에서 첫 개인전을 가졌고, 1942년부터 1943년까지는 청전화숙(靑田畵塾)동문전에 참가했다. 광복 직후에는 이응로(李應魯), 장우성(張遇聖), 이유태(李惟台), 조중현(趙重顯) 등과 전통회화의 새로운 진로를 연다는 의욕으로 단구미술원(檀丘美術院)을 조직하고, 1946년 3월 첫 회원작품전을 개최하였다. 그때 그의 출품작은 새로운 역사의 출범을 상징한 '생신 生新'이었다. 1947년 미군정청 문교부가 전국종합미술전을 열 때 심사위원을 지냈고, 1949년에 시작된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國展)에는 처음부터 추천작가, 초대작가로 참가하였으며 1953년부터 1967년까지 계속 동양화부 심사위원을 역임하며 화단에 영향력을 미쳤다. 1954년 대한민국예술원회원이 되었고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강사를 역임하였다. 1963년 대한민국문화훈장국민장을 받았고 다음해 대한민국예술원상을, 1967년 서울특별시문화상을 수상하였다. 중년 이후의 작품은 온화하고 유연한 필치로 전통적 화격(畵格)을 실현시킨 독자적인 산수화와 화조화에 집중되었다. 1964년부터 홍익대학 미술학부 교수를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