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곽인식(郭仁植)
  • 현풍곽씨(玄風郭氏),  출생~사망 : 1919 ~ 1988
서양화가. 대구 출생. 일본 동경(東京)의 니혼미술학교(日本美術學校)에서 수학하였고 일본에 정착한 재일한국인 화가로서 두드러진 제작활동을 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일본의 독립미술협회 등에, 그 직후에는 이과회전(二科會展) 등에 현대적 표현주의 작업의 작품을 출품하여 주목을 받았다. 1950년대에는 초현실주의와 앵포르멜 미학의 영향을 받은 조형작업을 지향하면서 1954년 요미우리(讀賣) 앵데팡당전 출품, 1957년 '신 에콜 드 도쿄' 창립회원, 1965년 일본국제미술전(도쿄비엔날레)에 초대출품하는 등의 활약을 보였으며, 개인전도 거듭 가져 일본 현대미술 움직임 속에서 부각되었다. 1960년대 중반부터는 특히 평면적인 회화작업에서 떠나 유리조각, 돌, 나무, 철판, 점토 등의 물질을 화면에 부착하여 그 자체의 특이한 조형적 구성과 형상적 발언을 하게 한 작품을 추구하여, 당시 일본의 이른바 '모노파(物派)', 곧 '물상파(物象派)'로 말할 수 있는 물질적 형상 추구파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70년대 중반 이후에는 전통적인 일본종이 화지(和紙)에 작은 타원형으로 단순화시킨 일정 형태의 맑고 투명한 색상 이미지를 유동적이고 복합적인 구성으로 전개시키는 동양적 신비감의 평면회화를 창출해 보였다. 한편, 자연스런 돌에 조형적인 표정을 조성하는 변용작업과 도자기용 점토를 자유로운 형상 구현에 이용한 작품행위도 계속하였다. 일본 에서의 그러한 활약은 한국의 현대미술 전개와도 관계를 가지게 되어, 1968년 동경국립근대미술관에서의 한국현대회화전 출품 외에 1969년 상파울루비엔날레에 한국인 화가로 참가, 1970년 조선일보사 주최 현대작가초대전 출품, 1977년 동경 센트럴미술관에서의 한국 현대미술단면전 참가 등으로 유대를 가졌다. 1985년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대규모 회고전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