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호는 목남(木南). 경기도 고양 출신. 아버지는 진호(軫鎬)이며, 어머니는 김숙경(金淑卿)이다. 1939년 경성중학을 졸업하고 같은해 일본으로 건너가 게이오대학(慶應大學)법학과에서 수학하였다. 광복 후에는 한때 종합잡지 '전망 展望'을 주재하였으며, 6, 25 때에는 종군 문인으로 공군에 소속된 창공구락부(蒼空俱樂部)의 일원으로 활약한 바 있다. 또한, 서울이 수복되어 환도가 이루어진 다음에는 조지훈(趙芝薰) 등과 함께 '문학예술 文學藝術'의 시 추천을 맡아보았으며, 1957년에는 한국시인협회에 관계한 바도 있다. 그뒤 1960년 문공부의 문정관으로 일본에 건너가서 그곳에 눌러앉았다. 그의 문단활동은 1939년 학부재학 때 '문장 文章'의 추천제에 응모하여 그해 5월호에 시 '풍장 風葬'과 '북극권 北極圈'이 뽑히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이때 추천자인 정지용(鄭芝溶)은 그의 작품에 대하여 '패기도 있고 꿈도 슬픔도 넘치는 청춘이라야 쓸 수 있는 시'라고 하면서 '선이 활달하기는 하나 치밀하지 못한 것이 흠'이라는 것과 외국어를 많이 쓴 것을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같은해 '문장'에 시 '가정 家庭'과 1940년 3월호에 '놉새가 불면'을 발표하였다. 그는 등장 초기부터 경향시의 정치 지향성과 모더니즘계 시에 대하여 모두 반발하면서 그 나름대로의 순수시를 쓰려는 자세를 보였다. 추천완료 소감으로 발표한 '나의 작시설계도(作詩設計圖)'(문장, 1939. 9.)에서 이러한 자세를 표명한 바 있다. 그는 과작(寡作)의 시인으로 생전에는 시집을 내지 않았으나 죽은 뒤 1976년 '이한직시집'이 발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