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윤곤강(尹崑崗)
  • 칠원윤씨(漆原尹氏),  출생~사망 : 1911 ~ 1950
시인. 본명은 붕원(朋遠). 호는 곤강(崑崗). 충청남도 서산 출신. 아버지는 병규(炳奎)이며, 어머니는 광산김씨(光山金氏) 로, 2남2녀 가운데 장남이다. 1, 500석(石)을 하는 부농의 가정에서 태어나 14세까지 한학을 배웠다. 1925년 상경하여 보성고등보통학교(普成高等普通學校)에 편입, 1928년에 졸업하고 같은해 혜화전문학교(惠化專門學校)에 입학하였으나 5개월 만에 중퇴하였다. 그뒤 1930년 일본으로 건너가 1933년 센슈대학(專修大學)을 졸업하였다. 귀국과 동시에 카프에 가담하였다가 1934년 카프제2차검거사건 때 체포되어 전주에서 옥고를 치르고 석방되어 당진으로 일시 낙향하였다. 이듬해 상경하여 1936년 무렵부터 활발한 창작활동을 시작하였다. 그뒤 1939년에는 '시학 詩學' 동인으로 활약하였으며, 민족항일기에는 징용을 피하여 낙향, 면서기로 근무하다가 광복 후 다시 상경하여 1946년 보성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하였고, 한때 조선문학가동맹에 가입하여 활약하다가 1948년에는 중앙대학교 및 성균관대학교 강사를 역임하였다. 그의 작품활동은 1936년 시와 시론을 활발히 발표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비교적 다작에 속하는 그의 시세계는 항상 새로운 시세계를 개척해보려는 의욕은 있었으나 지나치게 묘사나 설명에 의존하려는 시작태도 때문에 전체적으로 응축력이 결여된 결함을 보이고 있다. 그의 작품세계는 크게 광복 전과 후 두 시기로 구분해볼 수 있는데, 첫시집 '대지 大地'를 비롯하여 '만가 輓歌', '동물시집 動物詩集', '빙화 氷華'는 전기에, '피리', '살어리'는 후기에 속한다. '대지'와 '만가' 는, 시는 현실적, 시대적 진실의 열정적 표현이 되어야 한다는 그 자신의 시론에 충실하였던, 소극적 저항의 시기에 쓰인 작품집으로서 자연이나 인생보다는 고통스러운 현실을 우울한 정서로 노래하고 있다. 카프의 영향과 영어생활(囹圄生活)의 체험을 바탕으로 식민지 지식인의 허탈과 무력함을 고백하고 있는 그의 시는 결국 자기자신에 대한 만가를 스스로 지어 부르는 자조(自嘲)로까지 진전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제3시집 '동물시집'은 나비, 올빼미, 원숭이, 낙타 등 동물을 소재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때까지의 우리 시사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특이한 면모를 보이고 있는 작품집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시의 소재인 동물들을 자연물이 아니라 현실의 객관적 상관물(相關物)로 노래하고 있다는 면에서 시세계의 본질은 거의 변함이 없다.이 '동물시집'과 제4시집 '빙화' 에서는 대상과의 객관적인 거리를 통하여 감정과잉이라는 자신의 시적 결함을 어느 정도 극복하고 있다는 면에서 진일보한 경지를 보여준다. 광복과 더불어 그의 시세계는 커다란 변모를 보여준다. '피리', '살어리' 두 시집에 나타나 있는 그의 새로운 시도는 전통계승에 대한 관심, 민족정서의 탐구, 밝고 건강한 세계의 지향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그리하여 고려가요의 율조나 그 속에 담긴 정서를 되살려 보려는 실험을 시도하고 있는데 고려가요의 어투를 차용하거나 율조를 반복하는 차원에서 벗어나지 못하였기 때문에 큰 성과를 보이지 못한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저서로는 평론집인 '시(詩)와 진실(眞實)'(정음사, 1948) 및 기타 편저로 '근고조선가요찬주 近古朝鮮歌謠撰註'(生活社, 1947) 등이 있다. 시론으로는 '포에지에 대하여'(1936), '표현에 관한 단상(斷想)'(1936), '이데아를 상실한 현조선(現朝鮮)의 시문학(詩文學)'(1937), '시와 현실(現實)의 상극(相克)'(1937)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