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자는 찬옥(贊玉). 호는 해동초인(海東樵人), 동초(東樵). 경기도 광주 출신. 아버지는 개화기 언론인인 영년(永年)이며, 어머니는 청송심씨(靑松沈氏)이다. 어릴 때에는 광주 사숙(私塾)에서 한학을 공부하여 사서삼경까지 마쳤고, 갑오경장 후 1897년 아버지가 광주에 설립한 시흥학교(時興學校)에 입학, 신학문을 공부하였다. 뒤에 서울로 올라와 관립한성중학교(官立漢城中學校)에서 수학하였다. 신학문을 공부하고 문학에 뜻을 두어 1907년에 중국 상해에서 발행한 소설전집 '설부총서 說部叢書'를 번역(번안○)한 뒤 우리나라 현대소설의 토대가 된 신소설 창작에 착수하였다. '자선부인회잡지' 편집인과, '신문계 新文界', '반도시론 半島時論' 등의 기자노릇을 하였고, 말년에는 뚝섬에 있는 그의 농장에서 최익현(崔益鉉)의 실기를 집필하였으나 끝내지 못하고 죽었다. 대표작으로 꼽히는 '추월색 秋月色'(1912)을 비롯하여, '안(雁)의 성(聲)'(1914), '금강문 金剛門'(1914), '도화원 桃花園'(1916), '능라도 綾羅島'(1919), '춘몽 春夢'(1924) 등 많은 작품을 발표하였으나, 이들은 한결같이 이성간의 애정문제를 다룬 것이었다. 따라서, 그의 중심은 민족의식이나 자주독립 등의 정치적인 면보다 애정문제, 풍속적 윤리, 도덕문제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도 신식결혼관이나 연애가 표면적으로만 등장할 뿐, 궁극적인 주제는 고대소설적인 윤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최찬식의 소설은 당대 신소설의 한계 및 통속화현상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