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 김마리아(金瑪利亞)
  • 광산김씨(光山金氏),  출생~사망 : 1891 ~ 1944
독립운동가, 교육자. 아버지는 김윤방(金允邦), 어머니는 김몽은(金蒙恩)이다.

황해도 장연 출신. 아버지는 한학자로 서상륜(徐相崙) 으로부터 기독교신앙을 받아들여 마을에 교회와 학교를 세웠다. 1895년 아버지가 세운 소래국민학교에 입학하여 4년만에 졸업하고, 집에서 여공(女功)을 수업하면서 한문공부에 열중하였다. 1895년에 아버지를, 1904년에 어머니를 여의었다. 대학공부까지 시키라는 어머니의 유언에 따라 1905년 서울로 올라와 노백린(盧伯麟), 김규식(金奎植), 유동열(柳東悅), 이동휘(李東輝), 이갑(李甲) 등 애국지사들의 출입이 잦은 삼촌인 필순(弼淳)의 집에서 공부를 계속하였다.

1906년에 이화학당(梨花學堂)에 입학하였다가 교파관계(敎派關係)로 곧 연동여학교(延東女學校: 현재 정신여자중학교)로 전학하여 1910년에 졸업하였다. 그뒤 광주 수피아여학교에서 3년간 교사를 지냈고, 1913년 모교인 정신여학교로 전근하여 이듬해 일본으로 유학하였다. 일본 히로시마(廣島)의 긴조여학교(錦城女學校)와 히로시마여학교에서 1년간 일어와 영어를 수학한 뒤, 1915년에 동경여자학원 대학예비과에 입학하였다. 1918년말경 동경유학생 독립단에 가담, 황에스터(黃愛施德) 등과 구국동지가 되었다.

1919년 2, 8독립운동에 가담, 활약하다가 일본경찰에 붙잡혀 조사를 받은 뒤 풀려났다. 조국광복을 위해 일신을 바치겠다는 굳은 의지를 세운 뒤 스스로 졸업을 포기하고, '독립선언서' 10여 장을 베껴 변장한 일본 옷띠인 오비 속에 숨기고 차경신(車敬信) 등과 2월 15일에 부산에 입항했다. 귀국 후 대구, 광주, 서울, 황해도 일대에서 독립의 때를 놓치지 않도록 여성계에서도 조직적 궐기를 할 것을 촉구하는 등, 3, 1운동 사전준비운동에 진력하였다. 황해도 봉산 에서의 활약을 마치고 3월 5일 서울 모교를 찾아갔다가 일본형사에게 붙잡혔다. 이때 모진 고문으로 상악골축농증에 걸려 평생을 고생하였다. '보안법'위반 죄목으로 서대문형무소에서 5개월의 옥고를 치르고 그해 8월 5일에 석방되었다. 석방 후 모교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여성항일운동을 진작시키고자 기존의 애국부인회를 바탕으로 하여, 그해 9월 대한민국애국부인회를 다시 조직하고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절대독립을 위한 독립투쟁에 대한 중요한 임무를 맡기 위한 준비와 임시정부에 군자금 지원에 진력하던 중, 그해 11월말 애국부인회 관계인들과 함께 다시 붙잡혔다. 그는 심문중 '한국인이 한국독립운동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 ', '일본 연호는 모른다.'는 등 확고한 자주독립정신을 보였다. 3년형 판결을 받고 복역중 병보석으로 풀려나와 서울 성북동 보문암(普門庵)에서 요양중 변장으로 인천을 탈출, 상해로 망명하였다. 상해에서도 상해애국부인회(上海愛國婦人會) 간부, 의정원 의원 등으로 활약하였으며, 수학을 계속하기 위해 중국 난징(南京)의 금릉대학(金陵大學)에 입학하였다. 1923년 6월에 미국으로가 1924년 9월 파크대학 문학부에서 2년간 수학, 1928년에는 시카고대학 사회학과에서 수학, 석사학위를 받고, 1930년에는 뉴욕 비블리컬 세미너리에서 신학을 공부하였다. 한편, 이곳에서 황에스터, 박인덕(朴仁德) 등 8명의 옛 동지들을 만나 동지들과 근화회(槿花會: 재미대한민국애국부인회)를 조직하여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재미한국인의 애국정신 진작과 일제의 악랄한 식민정책을 서방국가에 널리 알렸다. 그뒤 원산에 있는 마르타 윌슨신학교에서 신학 강의만을 한다는 조건으로 1935년 귀국하여 이후 여생을 기독교전도사업과 신학발전에 기여하였다. 고문의 휴유증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죽었는데, 그의 유언에 따라 시체는 화장하여 대동강에 뿌렸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