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군. 평안북도 신의주 출신. 1943년 3월 쉬저우지구(徐州地區)에서 김병학(金炳學), 박상기(朴相基) 등과 항일투쟁을 결의하고 활동하던 중 1944년 김병학, 박상기 등과 함께 한국광복군제3지대 김학규(金學奎) 지대장 명의의 지하공작원 임명장을 이장식(李張植)을 통하여 전달받았다. 이후 쉬저우지구공작책임자로서 지하연락망을 구축하는 한편, 김병학, 김승조(金承祚) 등과 더불어 학병탈출을 도모하고 일본군의 작전임무를 교란하는 공작에 온 정열을 쏟았다. 1945년에 접어들어 제3지대의 근거지인 푸양(阜陽)에 설치된 훈련대에서 적 점령지구에 있어서 한중합작으로 대적유격전을 전개하고 한미합작으로 실시계획중인 OSS훈련에 대비한 교육을 받던 중 조국광복을 맞았다. 광복 후, 쉬저우지구군사특파단에 파견되어 변영근(邊榮根) 단장을 도와 교포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였으며, 그들의 안전귀국을 도모하고 1946년 5월 귀국하였다. 1977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