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말의 의병장. 경기도 양평 출신. 1907년 충청도에서 농민을 규합하여 의병부대를 편성한 뒤 경기도 임진강 유역을 중심으로 항일의병전쟁을 전개하였다.이 지역에는 권준(權俊), 왕회종(王會鍾), 연기우(延起羽) 등 수많은 의병부대가 자리잡고 있었는데, 이들 부대들은 경기, 강원, 황해도를 넘나들며 일본군과 전투를 전개하고 있었다. 조인환 부대가 거둔 전과로서 대표적인 전투는 같은해 8월 4일 양근읍(楊根邑: 지금의 양평군 양평읍) 습격작전이었다. 의병부대는 군청, 세무서, 우편물취급소 등 관청을 습격, 파괴하고, 그곳 일본인 가옥을 소각시켰다. 그리고 출동한 일본군과 치열한 접전을 벌여 많은 전과를 올리고 용맹을 떨쳤다. 그뒤 허위(許蔿)의 13도 연합의병의 서울 진공작전이 실패한 뒤이 의병부대가 임진강 유역으로 이동하여 오자 조인환 부대를 비롯한 임진강 유역 의병들이 서로 연락하며 연합항전 체계를 수립하니 이때부터 이들 의병부대를 임진강연합의병이라 하였다.이 의병부대는 군표(軍票)를 발행하면서 군정을 베푸는 한편, 계속 항일전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1908년 허위가 영평(永平)에서 붙잡힌 것을 전후하여 임진강연합의병은 와해되고 이후에는 각 부대단위로 독자적인 항전을 전개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