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관인. 찬성사로 치사(致仕)하고 진주군(晋州君)에 봉해진 즙(楫)의 아들이다. 충혜왕 때 과거에 급제하여 전교교감(典校校勘)에 보임되고, 공민왕 때 홍건적이 침입하자 전리총랑(典理摠郞)으로 여러 장수를 따라 서울을 수복한 공로로 2등공신이 되었다. 일찍이 경상(慶尙), 서해(西海), 양광(楊廣), 교주(交州) 네 도(道)를 안찰(按察)하고, 원주, 상주의 수령이 되어 이르는 곳마다 치적이 있었으며, 신돈(辛旽)이 권세를 부릴 때도 아첨하지 않았다. 우왕 초에는 대사헌에 탁용(擢用)되고 진산군(晋山君)에 봉해졌는데 '잘못된 것을 알고서 그릇 판단한다면 하늘이 벌을 내릴 것이다. '라는 글을 써서 걸어 놓고 일을 보았다고 한다. 어머니의 상을 당하여 시묘(侍墓)하던 중 우왕이 기복교서(起復敎書)를 내렸으나 교서가 이르기 전에 죽었다.